[비즈니스포스트] 2024년 총선을 8개월여 앞두고 여야에 '수도권 위기론'이 번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내부에서 수도권 민심에 관한 공개적 우려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서울의 민심을 얻지 못해 고민이 깊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에 번지는 총선 '수도권 위기론', 마땅한 전략 없어 고심

▲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수도권 위기론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윤상현 페이스북>


여야 모두 총선 승패를 가름할 수도권에서 우호적 여론을 형성해야 한다는 인식은 있으나 전략수립에는 힘겨워하는 모습이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모두 다음 국회의원 선거에서 수도권 표심을 얻기 위한 대책마련에 고민하고 있다.

전체 지역구 의석수 253석 가운데 서울과 경기·인천에 배분된 의석수가 121석이다. 또 수도권에 거주하는 유권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만큼 비례대표의원 투표에서도 수도권 민심의 영향력이 상당하다. 수도권 민심이 내년 총선 결과를 판가름할 결정적 변수로 여겨지는 이유다.

일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서울과 경기·인천에서 민주당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미디어토마토가 18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의 서울과 경기·인천 지지율은 각각 34.0%, 33.2%로 민주당(서울 42.6%, 경기·인천 50.7%)에 뒤졌다. 리얼미터의 14일 여론조사에서도 수도권의 민주당(서울 49.0%, 경기·인천 48.4%)의 지지도가 국민의힘(서울 35.3%, 경기·인천 36.2%)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수도권 지역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 부정평가가 55% 안팎을 보이고 있는 점도 국민의힘으로선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국민의힘이 윤석열 정부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정권안정론을 앞세워 선거를 치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을 인식한 듯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민심을 확보하기 위해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4선 윤상현 의원이 수도권 위기론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인천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윤 의원은 17일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수도권이라는 게 그렇게 쉬운 선거가 아니다”라며 “수도권에서는 현재 지도부보다 중도나 2030에게 확장성 있는 분들을 발굴해 선거 지휘를 맡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특히 내년 총선에서 제3정당이 출현한다면 수도권에서 국민의힘 후보의 당선 확률은 더욱 낮아진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윤 의원은 18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수도권 거의 모든 지역이 1000표, 1500표 싸움인데 제3정당이 나온다면 국민의힘 표를 뺏어갈 것”이라며 “(당 지도부가) 3지대에 있는 사람들도 포용하는 등 전략을 갖춰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도권에 있는 당협위원장들한테 물어보면 저와 심정이 다 똑같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도 현재 대통령이나 정당 지지율을 고려할 때 국민의힘이 수도권 지역에서 총선을 치르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전 대표는 17일 YTN 더뉴스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이 30% 후반, 40%대 초반이 나오는 건 경기도나 수도권에서의 더 낮은 지지율을 영남으로 메워서 그렇게 보이는 것”이라며 “지금 지표만 보면 인천·경기 31개 지역구는 깔끔하게 전패”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서울은 괜찮고 경기도는 어렵다는 식의 분석을 하는데 해법이 나올 리가 만무하다”고 꼬집었다.

안철수 의원도 9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당 지도부를 향해 수도권에 출마시킬만한 인재영입을 촉구했다. 안 의원은 "지역마다 의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분들이 지방선거에 나와 대거 당선됐고 공공기관 장으로 간 분들이 있다"며 "시간이 없어 지금 당장 (인재영입을) 시작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에서도 수도권 위기론이 나오는 것은 마찬가지다. 정부여당의 악재에도 당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다는 시각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나 혁신안을 둔 내부 계파 갈등으로 지지율 상승의 동력이 약하다는 분석이 많다.  

수도권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뒤진다는 조사 결과도 존재한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7일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민주당의 서울과 경기·인천 지지율은 각각 21%, 23%로 국민의힘(서울 32%, 경기·인천 33%)보다 두 자릿수 이상 낮았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에 번지는 총선 '수도권 위기론', 마땅한 전략 없어 고심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월1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수도권 위기론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갈무리 >


민주당 소속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민주당이 민생을 해결해주는 모습을 보이지 못한다면 수도권 민심을 얻기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김 지사는 1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수도권 민심을 어떻게 보냐는 질문에 “민주당의 수도권 위기론을 많이 듣고 있다”며 “특히 민주당 같은 경우 경제와 민생을 살릴 수 있는 대안과 해결 능력을 갖고 있느냐를 고민을 해야지 지금 혁신위에서 대의원제다 하는데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수도권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현역의원들이 각종 사건사고에 휩싸인 점도 민주당의 고민이 깊어지게 하는 이유로 여겨진다. 공천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대표적으로 이재명 대표의 인천 계양을 재출마 여부를 두고 당내 이견이 존재한다. 또 ‘가상화폐’ 보유 논란을 빚은 김남국 의원 (경기 안산)을 비롯해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으로 민주당을 탈당한 이성만(인천 부평갑)·윤관석(인천 남동구을) 의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노웅래 의원(서울 마포갑) 등도 수도권 지역구 현역 의원이다.

2020년 4월 실시된 제21대 총선에서는 서울 및 경기·인천 지역구 121곳 가운데 민주당이 103곳에서 당선되며 압승을 거둔 바 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