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글로벌 수준의 지속가능경영을 적극 실천하며 차별화된 공유가치창출 사업 모델을 지속 발굴하겠다”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이사가 2022년도 정기주주총회에서 CJ대한통운의 ESG경영 강화를 약속하면서 한 말이다. 
 
CJ대한통운 친환경 물류기업 변신 적극, 강신호 ESG 등급 상향에 강한 의지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이사가 ESG경영강화 공약을 지킬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이 한단계 하락했는데 최근 친환경 경영 행보를 적극 알리며 하락했던 환경 부문 등급 상승을 꾀하는 모습이다. 사진은 강 대표가 2021년 친환경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한 모습. < CJ대한통운 >


임기 만료를 앞둔 강 대표가 CJ대한통운의 ESG 종합등급을 만회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강 대표의 약속에도 CJ대한통운의 ESG 종합등급은 2022년도 한 단계 하락한 상황이다.

9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최근 자원선순환 체계 구축, 재생용지 활용, 수소 모빌리티 전환, 물류센터 폐기물 재활용 등 다방면의 친환경 경영활동을 알리며 ‘친환경 물류기업’ 이미지 구축에 힘쓰고 있다. 

CJ대한통운이 이날 발간한 ‘2022 지속경영가능보고서’에는 ESG경영 고도화를 위한 강 대표의 의지가 엿보인다. 이번 지속경영가능 보고서에 활용된 ESG경영 평가지표는 348개로 지난해보다 69개가 늘어났다.

또한 CJ대한통운이 지난해 말 물류업계 최초로 기후변화대응보고서를 발간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선언한 것도 강 대표의 친환경 경영강화 의지로 읽힌다.

CJ대한통운의 친환경 경영행보는 지난해 ESG 종합등급 하락에 환경 부문이 영향을 미친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한국기업지배구조연구원은 CJ대한통운의 2022년도 ESG평가에서 종합등급을 A에서 B+로 한단계 낮췄다. 환경 부문과 지배구조 부문이 각각 B+, B등급으로 하락한 영향이 컸다. 이들은 2021년도까지만 해도 A등급을 유지하고 있던 부문들이었다.
 
다만 친환경 경영행보와 별개로 지배구조 부문의 스코어 회복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CJ대한통운은 ESG평가에서 지배구조 부문에서 스코어 27.9%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CJ대한통운은 서면투표제, 집중투표제 등을 채택하지 않고 대표이사와 이사회의장이 분리되지 않았는데 이는 기업지배구조 모범 규준과 차이가 있다.

CJ대한통운에 대한 ESG 평가는 강 대표의 재임기간 늘 관심을 받는 이슈였다.

CJ대한통운은 강 대표의 부임 직전 ‘택배기사 과로사’ 사고가 일어나면서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은 적이 있다. 이로 인해 2020년도 ESG평가에서 CJ대한통운의 사회책임 부문 등급이 ‘B+’ 등급에서 ‘B’등급으로 하향 조정되기도 했다. 

강 대표는 CJ제일제당 대표이사 재직시절 ESG평가에서 CJ제일제당을 전 부문 ‘A’로 끌어올리며 ESG경영에서 수완을 보여줬다. CJ대한통운 대표이사 발탁 당시 ESG경영 강화 차원의 인사라는 말이 나온 이유이기도 하다.

그는 취임 이후 ESG경영위원회를 설치하고 실적발표회 자료에서 ESG경영 관련 내용을 반영하는 등 발빠른 대응을 통해 CJ대한통운의 ESG 종합등급을 B+에서 A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다만 강 대표의 ESG위원회 활동 관련 아쉬운 부분도 눈에 띈다. 2022년 11월7일 열린 CJ대한통운의 ESG위원회에서는 △ESG경영 전략체계 변경 △기후변화 대응 로드맵 구축 △ESG평가사 대응 강화 전략 수립 등이 다뤄졌는데 강 대표는 당시 위원회에 불참한 것이다.

CJ그룹 차원에서 ESG경영을 강화하는 추세라는 점을 감안하면 ESG경영 성과는 강 대표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21년 3월 대표이사에 선임된 강 대표의 임기는 2024년 3월까지로 CJ대한통운의 ESG평가를 높일 수 있다면 연임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관측된다.
CJ대한통운 친환경 물류기업 변신 적극, 강신호 ESG 등급 상향에 강한 의지

▲ CJ그룹은 2021년도부터 손경식 CJ대표이사 회장의 신년사를 시작으로 그룹차원에서 ESG경영에 힘을 주고 있다. 손경식 CJ 대표이사 회장 겸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지난해 11월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년도 제2차 ESG 경영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CJ그룹은 손경식 CJ 대표이사 회장 명의로 발표한 2021년도 신년사에서 ESG를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언급한 뒤 ESG를 주요 경영화두로 삼고 있다.

다만 그룹 차원의 노력에도 CJ그룹 상장사의 ESG 종합평가 등급은 이전보다 낮아졌다.

2022년도 ESG 종합등급에서 CJ, CJCGV, CJ대한통운, CJENM 등 4곳은 B+등급으로 지난해보다 한단계 씩 모두 내려갔다.

강 대표는 2021년도 CJ그룹 정기임원인사를 통해 2021년 3월 CJ대한통운의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강 대표와 2011년 지주사 CJ에서 대한통운 인수업무를 맡고 이후 경영혁신(PI) 추진실장을 지내는 등 CJ대한통운과 깊은 인연을 이어왔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