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저감 최대 95%’ 그린메탄올, 울산항에서 컨테이너선에 세계 최초 공급

▲ 탄소저감 효과가 기존 선박유와 비교해 최대 95% 이르는 그린메탄올이 울산항에서 세계 최초로 컨테이너선에 공급됐다. 사진은 그린메탄올이 공급된 머스크그룹의 컨테이너선. <해양수산부>

[비즈니스포스트] 친환경 연료인 그린메탄올을 세계 최초로 컨테이너선에 공급한 사례가 국내에서 등장했다.

해양수산부는 17일 울산 남구 울산항에서 그린메탄올 1천 톤이 컨테이너선에 성공적으로 공급됐다고 밝혔다.

덴마크 머스크그룹이 현대미포조선에 발주한 2100TEU(20피트 컨테이너선 적재량단위)급 컨테이너선에 그린메탄올을 공급한 것이다.

그린메탄올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생산한 그린수소와 이산화탄소를 합성해 만들어진다. 

기존 선박유와 비교해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최대 95%에 이르며 황산화물 배출은 100%, 질소산화물 배출은 80% 감축할 수 있다.

머스크그룹은 지금까지 한국 내 조선소에 모두 19척의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건조를 의뢰했다.

그린메탄올을 공급한 첫 선박은 울산항을 출발해 수에즈 운하,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등을 거쳐 덴마크 코펜하겐까지 모두 2만1500km를 운항한다.

이번 그린메탄올 공급은 해수부가 추진한 ‘항만 내 친환경 선박연료 실증사업’을 통해 성사됐다.

해수부와 울산항만공사는 올해 초 관련 기업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그린메탄올의 컨테이너선 공급 실증사업을 진행해 왔다.

이번 실증사업에서 해수부는 신속한 행정절차 처리와 항만시설 이용로 감면 등을 관련 기업들에 제공했다.

모튼 보 크리스찬센 머스크그룹 에너지전환부문 총괄은 “그린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세계 최초 컨테이너선 항행을 울산항과 함께 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 인도될 대형 메탄올 추진선박의 운영을 위한 좋은 경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국제해사기구(IMO)가 7일 국제 해운 분야의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 달성 목표를 채택한 만큼 친환경 선박연료 시장이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며 “친환경 연료 전환이 국내 항만의 경쟁력 강화와 수출 신시장 개척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