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최연혜 전 미래통합당 의원이 한국가스공사의 사장으로 다시 공공기관 운영을 맡게 됐다.

최 전 의원은 박근혜 정부 때 한국철도공사 사장을 맡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했던 만큼 이번에도 가스공사에서 자산매각 등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오늘Who] 가스공사 사장 낙점 최연혜, 공공기관 자산매각 선봉에 서나

최연혜 전 미래통합당 의원이 한국가스공사의 사장으로 다시 공공기관 운영을 맡게 됐다. 최 전 의원은 박근혜 정부 때 한국철도공사 사장을 맡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했던 만큼 이번에도 가스공사에서 자산매각 등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10일 가스공사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9일 열린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심의, 의결을 거쳐 최 전 의원이 가스공사 신임 사장으로 선임됐다고 통보 받았다.

최 전 의원은 앞으로 가스공사의 이사회, 주주총회 등 신임 사장 선임을 위한 추가 절차를 거친 뒤 정식으로 가스공사 사장에 임명된다.

최 전 의원이 정식으로 가스공사 사장에 취임하게 되면 1983년 가스공사 창립 이후 첫 여성 사장이 된다. 최 전 의원은 2013년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되면서도 ‘최초 여성 사장’이라는 기록을 썼다.

이번 가스공사 사장 인선은 한 차례 재공모를 거치는 등 우여곡절 끝에 마무리됐다.

첫 공모에서 최 전 의원은 면접심사 때 탈락했으나 산업통상자원부가 재공모를 결정하면서 다시 지원해 가스공사 사장 도전에 성공했다.

최 전 의원의 탈락에 재공모가 이어지면서 상황이 비슷했던 2018년 채희봉 현재 가스공사 사장 인선 때처럼 정부의 사전내정 의혹이 일기도 했다.

최 전 의원은 가스공사 사장에 취임하면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감축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 전 의원이 박근혜 정부 때 대표적 친박인사로 꼽히며 한국철도공사 사장을 맡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밀어붙였던 인사이기 때문이다.

당시 박근혜 정부는 공공기관 개혁을 강하게 추진했고 최 전 의원은 정부의 정책 방향에 가장 앞장선 공공기관장이었다.

이번 윤석열 대통령 역시 6월21일 국무회의에서 “공공기관은 호화청사 매각해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말하는 등 공공기관에 자산매각을 통한 재정건전성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최 전 의원은 올해 대선에서 윤석열 캠프에 참여해 탈원전대책 및 신재생에너지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가스공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 추진된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실패에 따라 부채비율이 2021년 말 기준으로 356%에 이를 정도로 재정난을 겪고 있기도 하다.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국정감사에서 “회수가 불확실한 미수금 등을 제외하면 가스공사의 실질적인 부채비율은 564%에 이를 정도”라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다만 가스공사의 재정난 해결에 최 전 의원이 적임자인지를 놓고는 회의적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 전 의원이 에너지 분야에 별다른 경력이 없어 전문성을 의심받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 전 의원이 한국철도공사에서 보여줬던 행보를 놓고도 논란이 여전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관장으로서 기관운영 능력을 놓고도 의문을 품는 시선도 많다.

최 전 의원은 오랜 기간 철도분야에 몸담았던 만큼 철도공사 사장에 취임하면서 전문성 논란은 없었다. 만년 적자에 시달리던 한국철도공사를 취임 1년 만에 흑자로 전환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지표적 성과에만 집착해 ‘황금알 낳는 거위’로 불렸던 인천공항철도 지분을 파는 등 흑자 전환이라는 성과가 한국철도공사의 미래를 팔아치운 대가라는 비판을 받았다.

최 전 의원의 한국철도공사 경영 성과를 놓고 박수현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015년 국정감사에서 “유휴자산의 활용방안을 찾기보다는 매각이라는 손쉬운 방법으로 부채 감축을 진행하고 있다”며 “무차별적 자산매각이 장기적 관점에서 한국철도공사와 국민 편익에 도움이 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