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인원이 감소했다. 2009년 이후 11년 만이다. 

30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0년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350개 공공기관은 3만1천 명을 신규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공공기관 신규채용 3만1천 명으로 1만 명 줄어 11년 만에 감소

▲ 2020년 1월8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0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를 찾은 학생과 구직자들이 채용 관련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2019년 신규채용인원인 4만1천 명과 비교해 1만 명 줄었다. 

공공기관 신규채용인원이 1년 전과 비교해 감소한 것은 2009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공공기관 신규채용 규모는 2008∼2009년 2년 연속 감소한 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바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와 관련해 “자율정원조정제도와 2018년과 2019년 정규직 전환 등에 따른 기저효과”라며 “이를 고려했을 때 3년 연속 3만 명 대의 안정적 신규채용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8년 신규채용규모는 3만4천 명이었으며 2019년에는 4만1천 명이었다. 

자율정원조정제도는 경영 실적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공공기관이 주무 부처와 협의만으로 인원을 늘릴 수 있게 한 제도로 2018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운영됐다.

채용 분류별로 보면 청년 신규채용인원이 2만2668명으로 1년 전보다 5030명(18.2%)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이 청년채용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기획재정부는 분석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실적이 급감한 강원랜드와 그랜드코리아레저(GKL), 한국마사회의 청년채용은 모두 합해 2명에 그쳤다. 1년 전에는 이 3곳에서 모두 209명의 청년을 채용한 바 있다.

다만 전체 채용인원과 비교해 청년채용인원 비중은 1년 전 67.0%에서 73.8%로 늘었다.

여성채용인원은 1년 전보다 5185명(26.5%) 감소한 1만4399명으로 집계됐다.

여성채용 비중도 46.8%로 2019년(47.4%) 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과거 5년치 평균(44.9%)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장애인채용인원은 636명, 전체 채용 대비 비중은 2.1%로 집계됐다.

장애인채용은 지난해 법정 의무고용비율인 3.4%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인원은 6만1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9천 명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연차별 전환 계획에 따라 기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비정규직 가운데 기간제 인력은 코로나19 방역 지원 등으로 일시적으로 3천 명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임직원 전체 정원은 43만6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5천 명 증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