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동반성장지수 평가기업 중 유일하게 9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SDS는 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삼성전자, 동반성장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 9년째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8일 동반성장위원회는 제63차 동반성장위원회를 열고 2019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평가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평가가 시작한 2011년 이후 9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수상했다. 

삼성전자는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공정거래 정착, 종합 경쟁력 향상 등 동반성장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상생협력 활동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를 위해 자금, 기술, 인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2005년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중소·중견 협력회사에 거래대금 전액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다. 2017년부터는 1차 협력회사가 2차 협력회사와의 거래대금을 30일 이내 단축 지급할 수 있도록 5천억 원 규모의 물대지원펀드를 조성해 2년간 무이자로 대출해주고 있다.

협력회사 유동성 지원을 위해 2010년부터 1조 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해 기술개발·설비투자 자금 등을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협력회사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2009년부터 '우수기술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고 2015년부터는 보유한 특허 2만 7천건도 무상으로 개방하고 있다.

협력회사 임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연 500여 개의 온·오프라인 무료교육 과정을 개설해 협력회사 인적 역량 제고를 돕고 있다. 2012년부터는 '삼성 협력회사 채용 한마당'을 개최해 협력회사 우수인력 확보와 청년 실업난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3차 협력회사와 미거래 기업에게도 상생협력 활동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상생펀드, 임직원 교육, 제조혁신 지원 등 1차 협력회사 대상 프로그램을 2차 이하 협력회사로 지속 확대하고 있다. 2018년에는 3차 협력회사를 위해 총 7천억 원 규모의 3차 협력회사 전용펀드를 추가로 조성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각각 100억 원씩 총 1천억 원을 조성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00억 원을 추가로 지원해 판로 개척 지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도 실시한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내 마스크 제조업체와 진단키트 제조업체 등의 생산량 증대를 위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등 국가적 위기 극복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비전 '함께 가요 미래로! Enabling People' 아래 협력회사 상생펀드,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스마트공장, C랩 아웃사이드 등 상생활동과 청소년 교육 사회공헌활동을 펼친다.

삼성그룹 계열사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SDS도 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아 삼성전자와 함께 최우수 명예기업 20곳에 포함됐다.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제일기획은 우수에서 최우수로 등급이 올랐다. 제일기획은 협력회사 직무역량과 기술보호 교육지원 사업이 동반성장 우수사례로 꼽히면서 광고업종 최초로 동반성장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양호에서 우수로 등급이 올랐다.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전기, 삼성SDI, 호텔신라도 우수 등급을 받았다. 삼성중공업은 양호 등급을 받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