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돈 부산시장이 2030 부산엑스포를 북항 지역에 유치해 재개발사업에 탄력을 더한다. 

22일 부산시청에 따르면 오거돈 시장은 2030 부산엑스포 유치 후보지역을 부산 북항으로 정하고 엑스포 유치를 국가적 사업으로 승격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오늘Who] 오거돈, 부산 북항 재개발 효과 위해 엑스포 유치 나서

오거돈 부산시장.


부산시청 관계자는 “4월 안에 국무회의를 통해 부산엑스포 유치를 국가계획으로 확정해달라고 건의할 것”이라며 “범정부적 역량을 투입해 엑스포 유치에 속도를 내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엑스포 유치는 오 시장이 진행하고 있는 북항 재개발사업에 막대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북항 재개발사업은 부산 신항이 개발되는 과정에서 물동량이 감소해 낙후한 북항과 인근 원도심인 부산 동구, 남구 일대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불어넣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개발 규모는 220만 제곱미터에 이른다.

오 시장은 “북항 재개발지역에 2030 부산엑스포를 유치해 원도심을 활성화하고 해양관광의 거점을 만들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부산시는 2030 부산엑스포가 유치되면 국내외 관람객 5천만 명이 몰릴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 전체 인구와 맞먹는 숫자다.

이처럼 막대한 인원이 엑스포 행사기간 6개월에 걸쳐 북항 재개발지역과 인근 원도심에 유입되면 자연스럽게 재개발지역 산업지구와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오 시장은 재개발지역에 대규모 국제 숙박·전시·관광·쇼핑 공간을 마련해 앞으로 부산을 국제해양관광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오 시장이 부산엑스포 유치를 성사하면 따로 홍보를 진행할 필요 없이 부산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여 북항 재개발지역에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다. 

오 시장은 일자리 54만 개, 생산 유발효과 49조 원 등 부산엑스포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북항 재개발지역과 원도심의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5천만 명이 다녀가면 사업비 6조7천억 원, 수입 8조1천억 원으로 ‘흑자 엑스포’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오 시장이 2030 부산엑스포를 통해 북항 재개발사업의 시너지를 내려면 우선 엑스포 유치 성사라는 큰 산을 넘어야 한다.

2030 부산엑스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2021년까지 서류 준비를 마치고 사업계획을 확정해 세계박람회기구(BIE)에 유치를 신청해야 한다. 이후 2022년 세계박람회기구 실사를 거쳐 2023년 개최지를 확정하게 된다.

오 시장은 2025 엑스포 개최 예정지이자 1970 엑스포 개최지인 일본 오사카를 직접 찾아가 답사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오사카는 엑스포 운영과 이후 활용방안의 성공사례로 꼽히는 지역이다.

오 시장은 “2030 부산엑스포는 부산과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이 될 ‘메가 이벤트’”라며 “오사카의 사례를 철저히 분석해 부산엑스포 유치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2030 부산엑스포는 5년마다 열리는 월드엑스포다. 1993 대전엑스포, 2012 여수엑스포와 같은 특별엑스포는 전시면적과 주제가 제한되지만 월드엑스포에는 제한이 없다.

반면 비용 부담은 월드엑스포가 덜하다. 특별엑스포는 개최국이 모든 비용을 부담하는 반면 월드엑스포는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 참가국이 자비로 국가관을 건설해 전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월드엑스포는 아직 한국에서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