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공공기관 작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나면 경영진에게 책임을 묻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공공기관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사장을 비롯해 경영진도 문책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15일 전했다.
 
문재인 “공공기관 작업장에서 안전사고 나면 경영진 문책해야”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2019년 첫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공공기관의 작업장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보고받고 “사장이나 임원진이 자기 일처럼 자기 자식 돌보듯 직원을 돌보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그렇게 못하면 전부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기관을 평가할 때 안전에 비중을 둬야 한다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공공기관·공기업 평가에서 수익보다 안전 부분에 더 많은 점수를 줘서 평가 기준 자체를 개선해야 한다”며 “지금까지의 평가는 결국 성과급 배분 등에서 차이를 두는 정도여서 별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공공기관을 관리하는 기획재정부에서 평가 부분을 두고 아주 엄격한 관리지침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공공부문의 사고 예방을 지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국무총리가 2018년부터 교통사고 사망, 산재 사망, 자살 등 3개 분야에서 국민 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적어도 공공부문만큼은 특별히 노력을 기울여 걱정하지 않도록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민간영역에서 산재사고를 은폐하는 사례도 살펴야 한다고 바라봤다.

문 대통령은 “적어도 공기업·공공기관 또는 공공 부문에서는 김용균씨 사망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로 아까운 생명을 해치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