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누리호 2차 발사가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특히 이번 누리호 2차 발사의 임무에는 성능검증용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 것까지 포함돼 있어 국내에서 우주사업을 꿈꾸고 있는 기업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구밖에서 기회 찾는 기업들, 네이버 한화 KT가 우주에서 돈 버는 방법

▲ 2021년 10월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는 누리호의 모습. <연합뉴스>


우주사업은 꽤 오랜 시간동안 미국, 러시아 등 강대국이 주도하는 이른바 '올드 스페이스' 형태로 진행 돼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민간 주도의 개방적, 경쟁적 우주탐사를 뜻하는 ‘뉴 스페이스’가 우주사업의 주요 형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우주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이들 국내 기업들은 우주사업의 어떤 부분에서 경제적 가치를 찾아내려 하고 있을까? 어떻게 우주로 돈을 벌려 할까?

◆ 국가 자존심 대결의 장에서 '경제적 기회의 땅'으로, 유망한 우주사업으로 뭐가 있을까

우주는 냉전시절 강대국들 사이 자존심 대결이 펼쳐진 공간이었다. 그런데 이제 우주사업은 무한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 ‘기회의 땅’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2021년 말 사상 최초로 ‘조만장자’의 타이틀을 거머쥘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으로 일론 머스크를 꼽았다. 그가 추진하고 있는 우주 사업의 가치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했기 때문이다.

모건스탠리의 애널리스트 애덤 존스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장차 세계에서 가장 시가총액이 큰 기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의 연구그룹 밀레니엄프로젝트가 발간한 ‘세계미래보고서 2022’을 보면 유망한 우주사업은 채굴 사업, 위성인터넷 사업, 관광 사업, 우주 태양광 사업, 우주 쓰레기 청소 사업 등이 꼽힌다. 

이들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는 사업은 바로 위성인터넷 사업이다. 특히 한화그룹은 위성인터넷 사업에 그룹의 역량을 모으고 있다.

◆ 6G시대 책임질 저궤도위성통신사업, 김동관의 한화그룹이 이끈다

한화는 그룹 차원에서 우주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국내 대기업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우주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한화그룹의 우주사업을 총괄하는 조직 ‘스페이스허브’를 맡고 있는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이사 사장은 ‘다보스 특사단’에 국내 기업인 가운데 유일하게 참여했다. 김 사장은 지난 5월22일부터 나흘 간 열린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 참석해 글로벌 리더들과 우주사업 이야기를 깊게 나눴다.

한화 우주사업의 중심은 바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 앞장서 펼쳐지고 있는 위성사업이다. 특히 저궤도 위성통신사업은 한화그룹의 우주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퍼즐조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궤도 위성통신사업은 저궤도에 많은 수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려 복잡한 통신 인프라를 만들지 않고도 안테나만 설치하면 언제 어디에서나 빠른 속도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사업 모델이다. 땅에 설치된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지금까지의 1~5G통신과 대비되는 6G통신의 기반이 되는 통신 방식이기도 하다. 
 
지구밖에서 기회 찾는 기업들, 네이버 한화 KT가 우주에서 돈 버는 방법

▲ 쎄트렉아이의 인공위성 '스페이스아이-1'


한화는 한화시스템의 위성통신 안테나 기술, 세트렉아이의 인공위성 제작 기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발사체 기술 등이 저궤도 위성통신사업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저궤도위성통신사업을 위해 영국의 위성안테나 전문기업 원웹, 미국의 위성통신안테나업체 카이메타 등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쎄트렉아이는 우리나라 민간회사 가운데 인공위성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지닌 유일한 기업이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사업에서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이 밖에 인텔리안테크, AP위성 등 강소기업들 역시 한국의 위성통신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우주사업이라고 꼭 직접 우주 가야하나, KT와 네이버의 우주 데이터 처리 사업

한화그룹과 같이 우주로 직접 진출하려는 기업뿐 아니라 우주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도 있다. KT, 네이버 등 IT기업이 그 주인공이다.

KT의 자회사 KTSAT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위성통신 포럼’에 대표 의장사로 참여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우주기업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위성을 직접 활용하는 사업뿐 아니라 우주 데이터 가공 사업에도 진출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

KTSAT은 미국의 위성영상 전문기업 블랙스카이와 협력해 국내 고객사에게 고해상도 위성 이미지를 제공할 준비를 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업 오비탈인사이트와 함께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우주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을 갖고 있다.

국내 최대 IT기업인 네이버 역시 최근 우주 데이터 관련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네이버는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다면 국내 우주 기업들의 발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 26일 쎄트렉아이에게 네이버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세트렉아이는 네이버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해 자신들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영상 분석 서비스 ‘오비전’을 클라우드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고객사에게 제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구밖에서 기회 찾는 기업들, 네이버 한화 KT가 우주에서 돈 버는 방법

▲ 마이크로소프트의 위성 데이터 처리용 클라우드서비스인 '애저 오비탈' 개념도. <애저 오비탈 홍보영상 갈무리> 


특히 두 회사는 네이버의 인공지능, 3D매핑기술 등을 위성 영상 분석·가공에 활용해 더욱 우주 데이터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1월 한컴그룹의 한컴인스페이스의 위성 관제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실제로 글로벌 대형 클라우드기업들은 이미 우주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그라운드 스테이션,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 오비탈 등이 대표적이다. 그라운드 스테이션과 애저 오비탈은 고객사가 자체 위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 없이 이들 클라우드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사진과 동영상 등 데이터를 내려받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