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조직문화가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잦은 야근과 회의 등 비효율적 요소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맥킨지와 함께 조사한 ‘한국 기업의 기업문화와 조직 건강도 2차 진단보고서’를 14일 발표했다.
 
대한상의 조사 "기업 비효율적 야근과 회의 여전히 많다"

▲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이번 조사는 2016년 1차 진단 뒤 2년 동안 기업문화의 개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뤄졌으며 보고서는 대기업 직장인 2천여 명을 조사한 ‘기업문화 진단 결과’와 국내 주요기업 8곳(대기업 3곳, 중견기업 3곳, 스타트업 2곳)을 분석한 ‘조직 건강도 심층진단 결과’를 담고 있다.

대기업 직장인 2천여 명을 대상으로 기업문화를 조사한 결과 2년 전 후진적 기업문화 요소로 꼽혔던 습관적 야근, 비효율적 회의, 불통의 업무방식 등이 다소 개선됐으나 여전히 낙제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문화 개선 효과를 체감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일부 변화는 있으나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답변이 59.8%, ‘이벤트성으로 전혀 효과가 없다’는 응답이 28.0%를 차지하는 등 직장인 87.8%가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근본적 개선이 됐다’는 응답은 12.2%에 그쳤다.

세부항목별 변화를 살펴보면 ‘야근’이 31점에서 46점, ‘회의’가 39점에서 47점으로 올랐으나 여전히 50점을 넘지 못했다.

평가점수는 100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대답을 한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는 41점에서 55점, 업무 지시는 55점에서 65점으로 개선됐으나 여전히 70점을 밑돌았고 ‘회식’만 77점에서 85점으로 올라 우수 평가를 받았다.

기업문화 개선활동과 관련한 평가에서도 ‘무늬만 혁신’, ‘재미없음’, ‘보여주기’, ‘청바지 입은 꼰대’, ‘비효율’ 등 부정적 단어들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8개 주요 기업의 조직 건강도(OHI)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4곳이 최하위 수준, 3곳이 중하위 수준, 1곳이 중상위 수준을 보였다.

조직 건강도(OHI, Organizational Health Index)는 맥킨지가 기업의 조직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1991년 개발한 지표로 지금껏 1800여 개의 기업에 적용해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의 조직문화를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세부 영역별 진단결과를 살펴보면 책임소재, 동기부여 등의 항목에서 국내 기업이 상대적 우위를 보였지만 리더십, 외부 지향성, 조율과 통제(시스템), 역량, 방향성 등 대다수 항목에서 글로벌기업에 뒤처졌다.

대한상의는 조직건강을 해치는 3대 요인으로 ‘비과학적 업무프로세스’ ‘비합리적 성과관리’ ‘리더십 역량부족’을 꼽고 국내 기업문화의 근본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개선 과제로 △빠른 실행 업무프로세스 △권한과 책임이 부여된 가벼운 조직체계 △자율성에 기반한 인재육성 △플레잉코치형(선수 겸 감독) 리더십 육성 등 4가지를 제시했다.

플레잉코치형 리더십은 위에서 지시사항을 정해주는 탑다운 방식의 관리자형 리더십과 달리 관리자가 구성원들과 함께 뛰며 업무를 지원하는 참여형 리더십을 의미한다.

박재근 대한상의 기업환경조사본부장은 “경영환경의 빠른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역량으로 유연성이 꼽히지만 이를 위한 적합한 체계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조직은 흔들리게 된다”며 “국내 기업은 프로세스, 구조, 인재육성, 리더십 등 조직 운영요소 전반에 걸쳐 ‘역동성’과 ‘안정성’를 동시에 갖춘 ‘양손잡이’ 조직으로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기업문화의 근본적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문화 개선과 관련한 성공사례를 공유하는 컨퍼런스를 열고 플레잉코치형 리더십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업무방식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해 기업문화 개선의 지침서로 삼을 수 있는 기업문화 표준 매뉴얼도 제작해 배포할 계획을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