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형 민간임대주택 제도가 중장기적으로 건설사들의 가치를 높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국내 주택시장에 정착하기까지 장기간이 걸리겠지만 궁극적으로 실적 변동성을 완화하고 주택시장의 ‘과열-공급과잉’ 반복 사이클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됐다.
 
신한투자 "기업형 임대주택 빠른 정착 어렵지만 건설사 새로운 일감 될 것"

▲ 김선미 신한투자연구원은 2일 건설업종 비중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건설업종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유지하면서 “기업형 임대주택이 건설사들의 새로운 일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8·8대책에서 주택공급을 확대해 수도권 가격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주택시장 불안정의 근본 원인인 ‘개인 주도’의 임대주택시장을 ‘기업형 임대주택’으로 보완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김 연구원은 기업형 임대주택이 정부 의도대로 빠르게 정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바라봤다. 의무 임대기간이 20년으로 확장됐고 투자자금 부담과 정책 변동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장)리츠 시장이 이전보다 성장했고 선진국 성공사례를 근거로 유입되는 해외 투자자금 등을 고려할 때 시장 개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기업형 임대주택은 건설사 직접 운용보다 리츠 활용 구조가 적합하다”며 “업체별 대응에 따라 기업가치가 차별화되는 요인이 될 것이다”고 분석했다.

그는 “과거 박근혜 정부 시절 기업형 임대주택사업 ‘뉴스테이’에서는 건설사 다수가 시공이익과 향후 기대되는 분양전환 매각차익에 근거를 두고 참여했다”며 “실제로 현대건설은 매각이익을 현실화했다”고 설명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