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회사들이 민관협력을 통해 동남아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주춤했던 아세안시장 개척이 리오프닝과 맞물려 투자금융 글로벌 스탠다드 확보를 목표로 다시 빠르게 진행되는 모양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세일즈맨을 자처하며 지원 사격에 나서 이목을 끈다. 아세안 금융허브인 싱가포르와 함께 수교 50주년을 맞는 인도네시아, ‘포스트 중국’ 베트남, 신흥시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캄보디아 시장 선점을 위한 행보로 읽힌다. 이에 비즈니스포스트는 특별취재팀을 꾸려 금융시장 성장 발판을 구축하고 있는 동남아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보고, 인도네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3개국에서의 국내 금융업계 활약상을 생생하게 소개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 프롤로그 글 싣는 순서
① 진정한 금융강국이 되는 지름길, 아세안에 있다
② 은행 증권 보험 빅테크도 예외 없다, 아세안 돈줄 장악 특명
③ 김주현도 이복현도 영업맨, K금융 길 당국도 함께 닦는다
④ [인터뷰] 최희남 전 KIC 사장 “대표 브랜드 육성에 정부도 나서야”
⑤ [인터뷰] ‘동남아고’ 고영경 “아세안 공략, 디지털금융으로 직진하라”
⑥ [인터뷰] 한투운용 사장 배재규 “베트남 질적 성장 가장 주목해야”

 
[다시뛰는 K금융 프롤로그②] 은행 증권 보험 빅테크도 예외 없다, 아세안 돈줄 장악 특명

▲ 은행과 보험, 증권뿐 아니라 빅테크까지 동남아시아를 K금융의 주요 전략지로 삼아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아세안을 글로벌 진출의 주된 무대로 삼고 있는 국내 금융회사는 은행과 보험, 증권 등 전통적 금융뿐 아니라 빅테크까지 다양하다.

이들 회사는 2억7천만 명의 인구를 가진 아세안 지역의 중심국가 인도네시아부터 700만 명의 작은 나라 라오스까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전체 해외점포 가운데 약 40%가량이 아세안 국가에 집중적으로 위치해 있다.

국내 은행들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에 다수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지역에 신규 점포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은행은 2021년 기준으로 베트남 19곳, 미얀마 17곳, 캄보디아 11곳, 인도네시아 11곳 등 동남아시아 9개국에 모두 87곳의 점포를 확보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아세안에서 다양한 법인을 두고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 홍콩, 일본 등 금융선진국에 지점만 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KB국민은행은 인도네시아에 KB부코핀은행, 캄보디아에는 KB캄보디아은행과 프라삭마이크로파이낸스, 미얀마에서는 KB미얀마은행과 KB마이크로파이낸스미얀마 등을 두고 있다.

특히 KB부코핀은행은 KB금융지주가 아세안 개척을 위한 전진기지로 삼고 있는 곳이다.

KB금융지주의 6개 계열사가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있는데 KB부코핀은행이 그 중심에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한은행은 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 베트남에 각각 법인을 두고 있다.

신한은행의 아세안 법인 가운데 신한베트남은행은 국내 금융회사의 대표적 해외진출 성공 사례로 꼽히는 곳이다. 

신한은행은 1993년 베트남에 처음으로 진출한 이후 인력 현지화와 사업 다각화를 앞세우며 현지 외국계 금융회사 가운데 가장 많은 지점인 46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신한금융지주의 글로벌사업 순이익 중 절반에 가까운 45%가 신한베트남은행에서 나왔다.

하나은행은 아세안 국가들 가운데 인도네시아에서만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하나은행이 2021년 네이버의 일본 관계사 라인과 손잡고 인도네시아에서 시작한 디지털뱅킹 서비스는 출범 3개월 만에 고객 20만 명을 유치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우리은행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필리핀 등지에 법인을 두고 있는데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캄보디아 법인을 전략적 요충지로 삼고 있다.     

우리은행은 동남아시아 3대 법인에서 전체 글로벌사업 순이익의 50% 이상을 벌어들이는 것을 중장기 목표로 해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국내 보험사들도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해답을 동남아시아에서 찾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국가 가운데 가장 인구 수 많고 인근 국가로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교두보로 꼽히는 곳이어서 국내 보험회사들의 진출이 활발하다.

생명보험사 중에서 한화생명, 손해보험사 가운데에서는 KB손해보험과 메리츠화재, 삼성화재가 인도네시아에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보험사에서 한화생명은 인도네시아 현지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를 2012년과 2023년 잇따라 인수하며 시장 지배력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베트남도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아세안에서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어 보험사들의 주요 공략국가로 떠올랐다.

베트남에는 KB손해보험과 삼성화재, 현대해상, 미래에셋생명, 삼성생명, 한화생명, 신한생명, 신한라이프생명이 법인과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중이다.

증권사들도 동남아시아시장 진출에 공을 들이는 중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증권회사 14곳은 해외점포 72곳을 운영하고 있는데 그 중 31곳이 동남아시아에 자리하고 있다.

금감원은 “2017년 이후 증권사의 해외진출은 소폭 확대되는 추세다”며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태국 등 동남아 지역 해외점포 위주로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증권사별로 살펴보면 KB증권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다올투자증권은 태국, NH투자증권은 인도네시아·베트남·싱가포르, 미래에셋증권은 인도네시아·베트남·싱가포르, 신한금융투자는 인도네시아·베트남, 키움증권은 인도네시아, 한국투자증권은 인도네시아·베트남·싱가포르 등에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증권사 가운데는 미래에셋증권의 성장세가 눈에 띤다.

미래에셋증권의 인도네시아 법인은 2020년 기준 현지 주식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냈다. 베트남 법인도 베트남 전국에 지점망을 구축하면서 지난해 시장 점유율 4위에 올랐다.

토스와 카카오뱅크와 같은 디지털 금융 플랫폼들도 동남아시아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토스는 2019년 베트남에 첫 해외법인을 세웠고 지난해 4월에는 싱가포르에 동남아 사업본부의 본부 격인 토스 사우스이스트아시아를 설립했다.

카카오뱅크도 올해 안에 동남아시아 국가 1~2곳에 진출해 가시적 성과를 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4월 기자간담회에서 “1개 국가는 최소한 올해 안에 구체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나머지 1개 국가도 연말까지 진출 여부에 대해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