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경쟁이 치열해지는 각형 배터리 시장에서 당분간 단단한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내정자는 각형 배터리 시장에서 다진 입지를 바탕으로 해외 투자 확대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Who] 삼성SDI 각형 배터리 입지 '단단', 최윤호 추가 투자 저울질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내정자.


3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주요 전기차 기업들이 각형 배터리 탑재를 늘리기로 하면서 각형 배터리 시장을 둘러싼 배터리기업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테슬라, 폴크스바겐 등의 중장기 전략에 따라 각형 배터리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기차 기업들은 각형 배터리의 상대적으로 높은 안정성에 주목해 탑재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는 지금까지 전기차에 원통형 배터리를 탑재했으나 지난해부터 각형 배터리도 쓰기 시작했다.

특히 폴크스바겐은 2030년까지 자사 전기차에 탑재하는 각형 배터리 비중을 80%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폴크스바겐은 현재 파우치형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동안 각형 배터리를 생산하지 않았던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개발에 뛰어든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현재 각형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는 주요 배터리기업으로는 삼성SDI를 비롯해 중국 CATL과 BYD, 일본 파나소닉 등이 있다.

경쟁사들이 잇따라 각형 배터리 개발에 뛰어드는 상황에서도 삼성SDI는 여전히 각형 배터리 시장에서 단단한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는 주력으로 각형 배터리를 생산해 오며 확고한 지위를 갖춘 데다 경쟁사들이 각형 배터리를 개발해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기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삼성SDI는 지난해 하반기 각형 배터리 신제품 젠5(Gen5) 공급을 시작하기도 했다. 젠5는 양극재에 니켈 함량을 88%까지 끌어올린 하이니켈 배터리로 주행거리를 600km 이상으로 늘렸고 20분 만에 80%까지 고속 충전이 가능한 차세대 배터리로 여겨진다.

최윤호 내정자는 올해 신년사에서 “초격차 기술 경쟁력이야말로 10년 뒤 우리 모습을 결정지을 핵심 역량”이라고 강조했는데 젠5에 적용된 기술력에 관한 자신감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지난해 12월 선임된 최 내정자의 최우선 과제는 경쟁사보다 소극적이라고 평가받던 증설에 속도를 내는 일이 꼽힌다.

최 내정자는 삼성SDI 해외 추가 투자를 위한 완성차기업과 협력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삼성SDI는 1월27일 지난해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스텔란티스 이외의 다른 고객사와도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협력사 등 구체적 사항들은 언급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배터리업계에서는 삼성SDI의 추가 협력사로 미국 리비안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삼성SDI는 지난해 10월 미국 전기차배터리 생산 합작법인(JV) 설립 양해각서를 맺은 스텔란티스와 신북미무역협정(USMCA) 발효 전에 양산을 목표로 본계약 체결을 준비하고 있다.

2025년 7월부터 발효되는 신북미무역협정에 따르면 미국 내 완성차기업들은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부품의 비중을 75%까지 늘려야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다.

배터리 양산 체제를 갖추는 데 수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성SDI의 추가 투자 결정이 이른 시일 내에 이뤄질 공산도 큰 셈이다.

증권업계에서도 삼성SDI가 적극적 생산기반 확대에 나설 것이라는 시선이 많다. 

구성중 카카오페이증권 연구원은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미국 진출을 결정했는데 외형 성장 및 수익성 개선과 함께 추가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삼성SDI는 각형 배터리 신제품을 앞세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실적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돼 최 내정자의 미래를 위한 투자비 마련에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삼성SDI가 올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1조6천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전지(배터리)사업에서만 1조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삼성SDI는 연결기준 영업이익 1조676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2020년보다 59% 증가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영업이익 1조 원 시대를 열었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삼성SDI는 올해 차량용 반도체 수급에 따른 생산차질 문제가 완화하고 젠5 배터리 비중이 증가해 실적 개선 폭이 커질 것이다”며 “젠5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모델의 시장 반응이 우호적이어서 고객 수, 모델 수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