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Is 인물검색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이사

돌파력 강한 제일제당 출신 인사전문가, 시설투자·해외시장 확장 주력 [2025년]

김상면

자화전자대표이사 회장

국산화 집념으로 기술개발 성공 매출 6천 억대 회사로 키워, 2세 승계 속도 [2025년]

김영화

크레버스회장

독일서 철학공부하다 돌아와 창업, 교육서비스업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2025년]

최영섭

스맥대표이사

공작기계 국내 톱3 기업 오너, 2위 현대위아 인수 추진 [2025년]

구자은

LS그룹회장

'양손잡이' 경영 강조, LS그룹 마지막 오너 2세 경영인 [2025년]

박준경

금호석유화학 사장

'조카의 난' 경영권 분쟁 마무리, 친환경 소재·기술 적용 미래 먹거리 집중 [2025년]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회장

저축은행업계 출신 첫 회장, 연임 성공 발판 업계 건전성·신뢰 회복 힘줘 [2025년]

김두일

아스트대표이사

기업 구조조정 전문가, 아스트 경영정상화와 실적도약 주력 [2025년]

최기주

아주대학교총장

대학경영자로 변신한 교통공학자, 한국형 실리콘벨리의 스탠퍼드 꿈꿔 [2025년]

최안섭

SK지오센트릭대표이사 사장

화공제품 개발 엔지니어 출신, 경영 환경 악화 넘기 위해 사업 개편에 주력 [2025년]

박승일

서울아산병원원장

전산시스템 선진화 이끌어, 3연임 계기로 안팎 도전 극복 위한 혁신 집중 [2025년]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이사

2024년 영업이익 1조 달성, 발행어음 인가 획득 추진 [2025년]

방경만

KT&G대표이사 사장

세계무대 6년 누빈 해외 담배사업 전문가, 3대 핵심사업에 집중 [2025년]

박희동

현대엔지니어링 CFO

기아 출신 재무 전문가, '1조 손실' 현대엔지니어링 재무 개선 과제 [2025년]

김다산

위세아이텍대표이사

AI·빅데이터·SW기업 30대 CEO, SaaS 구독형 서비스 성장 주력 [2025년]

송영숙

한미약품그룹회장

경영권 분쟁 종식, 대주주로 전문경영인 체제 지원 몰두 [2025년]

변대중

네이처셀대표이사

변호사 출신 전문경영인, '조인트스템' 글로벌 시장 진출 과제 [2025년]

이슬기

디앤디파마텍대표이사

존스홉킨스 교수 출신 오너기업인, 경구용 펩타이드 플랫폼 기반 신약개발 주력 [2025년]

최병채

인카금융서비스대표이사 회장

GA 업계 최초 코스닥 상장 성공, 업계 경쟁 격화는 과제 [2025년]

최우형

케이뱅크 대표이사 행장

금융권·IT업계 거친 디지털금융 전문가, 실용과 소통 강조 [2025년]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이사
1966년 10월 28일

돌파력 강한 제일제당 출신 인사전문가, 시설투자·해외시장 확장 주력 [2025년]


신영수는 CJ대한통운의 대표이사다.

미국에 대규모 물류센터 건립하고 인도법인(CJ다슬)의 현지 증시 상장에 역점을 두고 있다.

1966년 10월28일 태어났다.

서울대 농업교육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과정을 마쳤다.  

제일제당에 입사해 CJ오쇼핑으로 자리를 옮겨 인사업무를 담당했다.

CJ제일제당으로 복귀해 인재원 부원장과 BIO 인사지원실장으로 근무했다.

2019년 CJ피드앤케어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CJ대한통운에서 택배·이커머스부문 대표이사, 한국사업부문 겸 글로벌사업부문 대표이사를 거쳐 2024년 대표이사가 됐다.

한국통합물류협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사 전문가로 평가된다. 강한 추진력과 돌파력을 보여주고 있다.  

◆ 경영활동의 공과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이사가 2024년 8월27일 열린 타운홀미팅에서 주7일 배송서비스의 성공의지를 구성원들에게 피력하고 있다. < CJ대한통운 >


△CJ대한통운, 여러사업부문에서 매출 실적 달성
CJ대한통운이 다양한 사업부문에서 목표 실적을 달성했다. 

CJ대한통운은 2024년 연결기준 매출 12조1168억 원, 영업이익 5307억 원, 순이익 2683억 원을 거뒀다. 2023년과 비교해 매출은 2.9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0.5% 늘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은 11조7679억 원, 영업이익 4802억 원, 순이익 2429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비 매출은 2.9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6.6%, 순이익은 23.4% 각각 증가했다. 

2013년 이후 CJ대한통운은 영업이익이 매년 성장을 거듭했으며 코로나팬데믹 터널을 지나오며 이익증가세에 더욱 속도가 붙고 있다.

신영수는 202..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