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당국이 관세전쟁으로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기업대출의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 하향조정 등 금융권의 자본보강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정부가 관세전쟁으로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한다. 사진은 부산항 모습.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매기겠다는 뜻을 내놨다.
이후 도입을 유예하고 특정 품목을 제외하는 등의 후속조치도 나왔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전세계 관세장벽이 높아져 국내 기업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에 따라 은행이 기업에 돈을 보다 원활히 빌려줄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등 은행 자산은 위험가중치가 매겨져 위험가중자산으로 산정된다. 위험가중자산은 은행의 자본건전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 등의 분모로, 늘어나면 은행의 건전성에 악영향을 끼친다.
금융당국은 관세전쟁으로 기업이 어려움을 겪는데 국내에서도 금융을 공급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만큼 기업대출 위험가중치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밖에도 다방면으로 관세충격에 따라 국내 금융 공급이 위축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8일 5대 금융(KB·신한·하나·우리·NH) 및 정책금융기관 5곳 실무진이 참여하는 대책반을 만들었다. 금융감독원도 대응반을 5곳 구성해 관련 실무작업을 진행한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