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 전쟁으로 해운업종에 빨간불이 들어온 가운데 특히 컨테이너선 시장이 타격을 맞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한국해양진흥공사 해양산업정보센터의 '미국 상호관세 조치 관련 선종별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를 90일간 유예해 해운업도 잠시 안도하게 됐으나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심화하며 해상운송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됐다.
▲ 한국해양진흥공사는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컨테이너선이 가장 큰 영향을 입을 것으로 바라봤다.
선종 별로는 컨테이너선 시장이 관세전쟁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해양진흥공사는 "극동과 유럽 물량은 미국 전체 수입량의 약 80%를 차지한다"며 "컨테이너선은 이번 상호관세 리스트에 직접 노출되면 물동량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바라봤다.
이어 "중국발 선적은 단기적으로 급감하고 그 외 지역은 미국으로 향하는 화물이 증가할 수 있다"면서도 "타 국가 물량 증가분이 기존 중국발 물량에는 미치지 못해 운임 인하 압력이 늘어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동차운반선(PCTC) 역시 물동량 감소 및 수익성 저하가 우려됐다.
해양진흥공사는 "자동차는 상호관세 대상은 아니지만,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최대 25%의 품목관세 부과로 인해 물동량 감소와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할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드라이벌크선(곡물,광물 등 운반선박)은 미국 수입 물량 규모가 저조하고 유조선 부문의 경우에는 원유·가스 등 주요 품목이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단기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해양진흥공사는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세계 경제성장률이 0.3~0.5%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해운업에선 선박 재배치와 공급망 재편 등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