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트럼프 관세 압박에 중국도 '강경 대응'으로 돌아서, 한국에는 협력 '러브콜'

김용원 기자 one@businesspost.co.kr 2025-04-14 16:03:5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트럼프 관세 압박에 중국도 '강경 대응'으로 돌아서, 한국에는 협력 '러브콜'
▲ 중국 정부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에 태도를 바꿔 강경한 대응을 준비하며 각 부처 관계자들에 전시태세 수준의 대비를 주문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7년 7월8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G20 서밋 관련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시진핑 정부가 미국 트럼프 정부와 활발한 협상으로 경제 및 외교 문제를 풀어가려 했지만 이제는 전략을 완전히 선회한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 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고율 관세 부과를 강행하자 대화를 이어가기 어렵다고 판단해 강경한 태도로 맞대응하는 기조를 전면에 내세우게 됐다는 의미다.

로이터는 14일 내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트럼프 관세에 맞서 ‘전시태세’를 주문하며 절대로 양보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 관계자들은 최근 휴가 계획을 모두 취소하고 항상 연락을 받을 수 있도록 대비하는 등 비상체제를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부가 최근 중국에 최대 145% 수입관세 부과를 결정하는 등 양국 갈등이 최고조에 이른 데 따른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는 수 개월에 걸쳐 미국과 대화를 통해 외교 및 경제 현안을 풀어가며 두 국가가 ‘윈-윈’을 거둘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초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하자 방향을 완전히 바꿔 강경한 대응 기조가 완전히 자리잡게 됐다.

트럼프 정부가 고율 관세를 통해 중국과 우호적 분위기로 협상을 이어갈 뜻이 없다는 태도를 분명히 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로이터는 중국이 트럼프 정부와 논의를 통해 틱톡 미국사업 매각, 대만 등 민감한 현안을 순조롭게 풀어나갈 것이라는 기대감도 품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런 시나리오는 사실상 모두 백지화됐고 현재는 다양한 무역보복 수단을 포함한 대응 조치가 중점적으로 검토되고 있다는 관계자들의 증언도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이와 동시에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 미국의 동맹국 및 우방국을 대상으로 대화와 협력을 추진하는 내용의 서한도 보낸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에 “미국은 자국의 이해관계를 위해 다른 국가들의 이익을 해치고 있다”며 “이러한 행위는 전 세계에서 큰 반감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이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 적극적으로 협력을 추진하는 것은 미국과 대립 구도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더욱 첨예해진 미중 갈등 상황도 이른 시일에 해소되기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힘을 얻는다.

트럼프 정부는 최근 전 세계 국가에 상호관세 도입 시기를 연기했지만 중국을 겨냥한 관세율은 오히려 대폭 높이는 등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 관계자들은 이러한 ‘무역 전쟁’에 절대 항복하지 않겠다는 각오를 두고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대변인을 비롯한 일부 관계자가 1953년 한국전쟁 당시 “미국과 끝까지 맞서 싸우겠다”고 말한 마오쩌둥 전 주석의 영상을 소셜네트워크에 공유하는 사례도 파악됐다.

로이터는 “중국 정부는 트럼프 1기 정부의 정책을 참고해 무역보복 조치를 점차 강화한다는 계획을 두고 준비태세를 갖춰내고 있다”며 미중 갈등이 앞으로 더 첨예한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커졌다고 예고했다. 김용원 기자

최신기사

S&P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 "정치 분열 지속되면 차기 정부 정책 추진 약화 ..
최상목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 검토 안 해, 양보한 것도 없다"
한국GM 부평공장서 신차 2만1천대 추가 생산하기로, '한국 철수설' 해소되나
유안타증권 "농심 1분기 영업이익 부진, 2분기부터 가격 인상과 신제품 효과"
유안타증권 "오리온 1분기 해외법인 고른 성장세, 수익성 체력 꾸준히 강화"
유안타증권 "롯데웰푸드 1분기 코코아 가격 급등에 영업이익 감소, 2분기부터 가격 인상..
동원산업 성장 돌파구 해외, 김남정 식품 통합 컨트롤타워 세워 연구개발 강화
하나은행 '외부인 사기' 350억 금융사고 발생, 사고금액 99.5% 회수
유안타증권 "CJ제일제당 1분기 국내 식품 부진, 해외 및 F&C 부문 방어"
한국전력, 베트남과 손잡고 원자력 발전 및 신사업 파트너십 강화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