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를 대신할 국가 비상입법기구와 관련해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예산 편성을 당부하는 내용의 쪽지도 준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이걸 준 적도 없고 그리고 나중에 이런 계엄 해제한 후에 한참 있다가 언론에 이런 메모가 나왔다는 걸 기사에서 봤다”며 “기사 내용은 부정확하고 그러면 이걸 만들 수 있는 사람은 (김용현) 국방장관밖에 없는데 국방장관이 그때 구속돼있어서 구체적으로 확인을 못했다”고 말했다.
공직자로서 ‘자유민주주의’라는 신념을 지키고 살아왔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문 권한대행으로부터 첫 발언 기회를 얻은 뒤 “저는 철들고 난 이후로 지금까지 특히 공직 생활을 하면서 ‘자유민주주의라는 신념’ 하나를 확고히 가지고 살아온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헌법재판관들을 향해 “헌법재판소도 헌법 수호를 위해 존재하는 기관인 만큼 우리 재판관들께서 여러모로 잘 살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탄핵심판 국회 측 대리인단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고 혹평했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은 탄핵심판 변론이 끝난 뒤 “피청구인(윤석열) 진술 내용 어디에도 비상계엄을 왜 선포했는지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했다”며 “부정선거 얘기를 했고 야당 탓을 계속 했는데 우리 헌법과 계엄법 상 계엄을 선포하려면 전시사변, 이에 준하는 사태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12월3일 당시 왜 비상계엄을 선포해야 될 상태로 인식했는지에 대한 어떠한 합리적 설명도 없었다”며 “비상계엄을 선포한 자체가 위헌위법이라고 스스로 자백한 심판기일이었다”고 덧붙였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