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최근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를 계기로 국토교통부가 기내 보조배터리 안전 규정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두고 이전에도 국토부가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여러 차례 개선 권고를 해왔지만, 사고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 2025년 1월28일 밤 10시26분경에 발생한 여객기 화재로 에어부산 BX391편이 손상을 입었다. 이 항공기 화재원인으로 보조배터리 발화가 지목되고 있다. <연합뉴스> |
민홍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8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하며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발생한 기내 보조배터리 관련 화재 사고 14건 중 13건에 대해 개선 권고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아시아나항공 여객기에서 선반 보관함 내 수하물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사고가 발생하자 국토교통부는 '보조배터리를 승객이 직접 소지하도록 안내 방송을 하라'는 내용을 권고했다.
민 의원은 국토부가 2015년 말 이미 보조배터리 관련 안전 규정을 마련했지만, 이를 실질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지난 11일 발표한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 안전관리 체계 강화 표준안'에 과거의 대책을 그대로 담았다고 주장했다.
당시 마련된 고시에는 보조배터리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를 테이프나 보호 파우치로 감싸는 등의 규정이 포함됐다.
민 의원은 "이러한 대책은 단락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충격이나 압력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토부는 10년 전 이미 대책을 마련했지만, 사고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실질적 조치를 취하지 않고 소극적 권고만 했다"며 "보조배터리로 인한 화재 예방을 위해 더 전문적 연구와 실질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도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