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계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이제 경재를 챙기자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재계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에 ‘이제는 경제를 챙기자’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국 정재계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란 분석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관한 논평을 통해 “이제는 사회적 대립 갈등을 넘어 국정이 조속히 정상화되고,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한 노력이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역시 “국민 모두가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함으로써 그동안 탄핵정국으로 야기된 극심한 정치·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종식하고, 사회 통합과 안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재계는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극심한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025년 3월25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취임 4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한상의> |
특히 탄핵 정국 속에서 콘트롤타워의 부재로 경제 정책은 사실상 멈춘 상태였다.
대한상의가 제조업체 2113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21.8%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사업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리스크로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을 꼽았다. 또 기업의 39.7%는 올해 매출 목표를 지난해보다 낮게 설정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의 회장은 최근 취임 4주년 기자간담회에서 “통상 문제, 금융 불안, 정치적 이슈 등 국내 기업들이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재계는 정치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국가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날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트럼프 2기 정부의 강경한 정책 기조가 우방국에까지 과도한 관세 부과로 현실화하는 등 최악의 글로벌 경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공식, 비공식 외교채널을 전면 가동하고 기업과 시너지를 이끌 협력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탄핵 선고 뒤에도 극심한 정치적 갈등이 이어지며 ‘경제 살리기’가 후순위로 밀릴 수 있다는 걱정이 나온다.
탄핵 정국을 지나며 민심이 좌우로 나뉜 상황에서, 경제정책 수립과 기업 지원이 늦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