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이사(사진)가 미국-러시아 주도의 '러-우 전쟁' 종전 협상에 따라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서 물류 사업 기회를 얻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신영수 CJ대한통운 대표이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논의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재건사업이 이뤄진다면, 과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나 공식적으로 재건사업에 참여키로 한 CJ대한통운의 수혜 가능성이 불투명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신 대표가 글로벌 사업부문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낙점한 우크라이나 재건 물류 사업을 따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미국 폭스뉴스 등에 따르면 미국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 등은 이번 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러시아 측 인사들과 종전과 관련한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지난 12일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간의 통화에서 미국, 러시아 양 측은 종전협상에 착수하겠다고 구두 합의한데 따른 후속 조치다.
다만, 우크라이나 측은 전쟁 당사자인 자신들과 유럽연합이 빠진 종전협상에 반발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16일 미국 NBC 뉴스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러시아가 아닌 우크라이나가 더 중요해지길 바란다”며 “그 누구도 푸틴을 믿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를 배제하고 푸틴과 합의를 할 수 있는 지도자는 세계에 없다"라며 "푸틴은 평화를 원치 않는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의 반대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해결사를 자처하고 나선 것은 막대한 경제적 이익이 기대되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을 미국이 주도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힌다.
한국토지주택연구원은 종전 후 우크라이나의 주택, 인프라, 산업시설, 피난민 지원 등을 재건하는 데 모두 702조 원(4863억 달러)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논의에 들어가면서 전후 700조 원 이상의 재건 사업 수주를 위한 각국 기업들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연합뉴스> |
다만 트럼프-푸틴 주도의 종전 시 평화협상 추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재건을 놓고 기존 우크라이나 정부가 해온 논의가 힘을 잃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종전 특수’를 기대해 온 국내 기업들의 셈법이 복잡해지는 것이다.
김학기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크라이나와 우리 기업들 사이에 많은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해도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우크라이나에 불리한 평화협상 결과 등에 따라 재건사업 계약 체결과 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발을 들여놓은 CJ대한통운에도 영향이 미칠 전망이다.
회사는 중동법인 CJICM와 폴란드 사무소를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거점으로 삼고, 재건에 필요한 물자와 중장비 등을 수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회사는 앞서 지난 2023년 9월 국내 물류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우크라이나 재건협력 대표단(원팀코리아)’에 포함, 전후 재건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 강병구 CJ대한통운 글로벌부문 대표(왼쪽),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023년 9월13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열린 '한국-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에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 CJ대한통운 > |
당시 강병구 CJ대한통운 글로벌 부문 대표가 우크라이나에서 열린 ‘한-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에 참석한 젤렌스키 대통령과 현지 관계자들을 만나 재건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회사는 재건사업에 참여 중인 투자회사 JJ그룹과 우크라이나 루츠크(Lutsk) 지역에 500만 톤 이상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내륙항만 개발에 협력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하지만 트럼프 주도 종전 협상 후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서 서방 기업과 경쟁에서 CJ대한통운이 사업을 따내기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장영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위원은 "서방 기업들은 우크라이나 재건에 이미 적극 참여하고 있고, 우크라이나 현지 기업과의 신뢰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라며 "따라서 한국기업 입장에서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시 이같은 서방 기업과 경쟁이 버거우며, 현지 기업과 신뢰 구축, 현지 진출 위험 완화, 적절한 진출 기회 포착 등의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물류 기업 가운데에서는 독일 헬만월드와이드, 로지스틱스플러스(스위스) 등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물류사업에 적극적이다.
장 연구원은 “우리 기업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참여하려면 단일 컨트롤타워 구축, 민관협력(PPP) 사업 집중, 실효성 있는 사업 개발과 현지 투자 정보 제공, 현지 인근 거점 구축, 위험 완화, 인근 유럽 기업과의 제휴 등이 포함된 전략을 구성해야 한다”며 “공적자금 제공, 현지 진출 위험 완화 등 정부 차원의 지원 전략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