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맨 오른쪽)이 2023년 6월 인도 노이다 생산 공장을 방문해 가전 생산라인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 LG전자 > |
[비즈니스포스트] LG전자 인도법인(LGEIL)이 올해 4월 인도 증시 상장을 앞둔 가운데 ‘중복 상장’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LG전자 자회사인 인도법인이 따로 상장되면 기존 국내 LG전자 기업가치에 ‘더블카운팅'이 발생, 국내 LG전자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향후 인도 시장에서 LG전자가 성장해도 그 성과를 국내 투자자들이 제대로 누릴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온다.
해외에 상장하더라도 글로벌 전체 주식시장 관점에서 중복 상장에 따른 주주가치 훼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게 각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17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LG전자 인도법인이 인도 증시에 상장하더라도, LG전자 본사 기업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 인도법인의 기업가치는 130억 달러(약 18조원)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된 LG전자 시가총액 13조8천억 원을 훌쩍 뛰어넘는 것이다.
LG전자는 인도법인 지분의 15%를 매각해 2조5천억 원 가량의 현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을 예상된다.
LG전자 인도법인이 이처럼 높은 기업가치로 평가받는 것은 성장 가능성 때문이다.
2024 회계연도 기준 매출 2135억 루피(약 3조5천억 원), 순이익 151억 루피(약 2500억 원)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7.48%, 순이익은 12.35% 증가했다.
인도법인의 최근 4년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15%에 육박한다.
하지만 국내 LG전자 주식에는 인도법인의 가치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할 공산이 크다.
인도법인이 상장하면, 사업체는 하나인데 두 곳의 상장사에서 가치가 매겨지는 이른바 ‘더블카운팅’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모회사 기업가치는 자체 사업부문과 자회사 지분가치로 구성된다.
하지만 여기에서 자회사가 상장에 따라 독립적으로 평가되면, 투자자들은 모회사가 보유한 자회사 지분가치가 하락하는 피해를 입게 된다.
이는 국내 많은 지주사들이 실제 가치보다 더 할인된 기업가치를 평가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 주식 시장의 중복 상장 비율은 약 18%로 일본(4.38%), 대만(3.18%), 미국(0.35%), 중국(1.98%)의 중복 상장 비율을 훨씬 웃돈다.
앞서 지난해 12월 LG전자는 2차 밸류업 프로그램을 공개하면서, 프로그램에 인도법인 기업공개를 포함시켰다. 하지만 중복 상장에 따른 국내 주주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밸류업 프로그램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국내 기업들의 자회사 해외 증시 상장은 활발해지고 있다. 2024년 네이버는 웰툰엔터테인먼트를 미국 나스닥에, 현대자동차는 인도법인을 인도 증시에 상장했는데, 당시에도 증권가 일각에서 '중복 상장'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 에어컨을 수리하고 있는 LG전자 인도 서비스 매니저. < LG전자 > |
LG전자는 현대차와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인도법인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 인도법인의 상장은 현대차가 보유한 지분 17.5%를 매각하는 형태로 진행됐는데, 이를 통해 현대차는 33억 달러(약 4조5천억 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김종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 대기업 자회사들을 해외 시장에 상장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글로벌 전체 주식시장 관점에서 중복 상장 발생 요인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기업가치제고(밸류업) 정책을 통해 높은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를 제시하고, 자사주를 매입·소각하더라도 중복 상장으로 기업가치 할인 요인이 발생한다면 국내 소액주주들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학계에서도 해외법인 상장이 국내 투자자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김우진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해외법인을 상장하는 것도 중복 상장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며 “미국은 상장하는 자회사의 주식 일부를 기존 모회사 주주들에게 배분하는 방식으로 주주를 보호하는데, 국내는 아직 주주보호 측면에서 미흡한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창민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도 “회사 일부를 따로 상장한다는 측면에서 해외법인을 현지 증시에 상장하는 것도 본질적으로 중복 상장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단지 해외 상장인 만큼, 국내 증시에 중복 상장하는 것처럼 이슈가 커지지 않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선 해외법인 현지 증시 상장이 본사 주주가치를 더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중복 상장 우려는 IPO 조달 자금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IPO로 조달한 자금을 전사 차원의 미래투자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과 주주환원 정책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IPO를 통해 인도법인의 가치를 재평가받게 되면, 일부 지분 매각 후에도 여전히 인도법인 지분 대다수를 보유하는 LG전자의 전체 기업가치가 올라가는 언락(Unlock)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