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머니  가상화폐

"알트코인 줄줄이 상폐 될라", 가상자산보호법 시행 앞두고 투자심리 흉흉

조승리 기자 csr@businesspost.co.kr 2024-06-23 06:0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알트코인 줄줄이 상폐 될라", 가상자산보호법 시행 앞두고 투자심리 흉흉
▲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안'을 7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에 맞춰 발표한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금융당국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에 발맞춰 '가상화폐 거래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가상화폐 투자자 사이에서는 알트코인 상폐와 관련한 불안감이 감돌고 있다.

금융당국에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다는 점, 각 거래소에서 적극 가이드라인 마련에 참여했다는 점 등을 놓고 볼 때 2021년 때처럼 다수의 알트코인이 한꺼번에 상장폐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다만 2021년 달리 가상화폐시장 전반의 신뢰성이 높아졌고 가상화폐거래소도 대규모 상폐는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23일 가상화폐업계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금융감독원은 국내 가상화폐거래소와 함께 가상화폐 거래와 거래지원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준인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안’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7월19일 시행되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맞춰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안을 각 거래소에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가상화폐업계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당국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보다 먼저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최대한 빨리 시행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들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안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지난주 가상화폐시장은 요동쳤다.

모범사례안에 이미 상장된 가상화폐의 거래 유지 여부와 관련된 내용도 담길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우려는 커졌다.

금융당국에서 각 거래소의 가상화폐 전수조사에 들어갔다는 말까지 전해지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이른바 ‘김치코인’의 대규모 상장폐지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퍼진 것이다.

거래소들은 불안 심리가 시장에 확산되고 실제 관련 알트코인의 시세 하락으로 이어지자 대규모 상장폐지는 있을 수 없다면서 투자자를 안심시키기 바빴다.

업비트는 19일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업비트는 선제적으로 거래지원하는 가상자산의 유지심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계랑화한 평가기준에 따라 정기적으로 유지 심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커뮤니티에 퍼진 ‘거래지원 종료 목록’은 전혀 근거가 없으며 이와 같은 대량 거래지원 종료가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며 선을 그었다.

하지만 가이드라인이 강제성은 없을지라도 각 거래소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해킹 문제가 발생한 적 있거나 유통량이 투명하지 못한 가상화폐의 거래 지원을 전격 종료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실제 업비트는 2021년 7월 24종의 가상화폐 거래를 일시에 종료한 경험이 있다.

당시 업비트는 이들 가상화폐를 두고 △미흡한 가상화폐 운영 재단의 기술 역량과 사업성과 △공개되지 않은 유통 및 시장 매도 △글로벌 유동성 문제 △불투명한 정보공개 및 소통 등으로 업비트의 거래지원 기준에 미달해 더 이상 거래를 지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24종의 가상화폐를 업비트가 아닌 다른 거래소로 옮겨 계속 거래를 할 수 있었으나 업비트의 거래종료 발표 이후 급격한 시세 하락을 감내해야만 했다.
 
"알트코인 줄줄이 상폐 될라", 가상자산보호법 시행 앞두고 투자심리 흉흉
▲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가 발표되면 각 거래소마다 부실 가상화폐의 상장폐지를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 사진은 가상화폐 그래픽 이미지.

국내 거래소들이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제 가상화폐의 상장폐지를 추진한다면 단기적으로 국내 가상화폐시장에 큰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

상장폐지되는 가상화폐뿐 아니라 다른 가상화폐 시세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면서 전반적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투자자들의 자금이 거래소에서 계속 거래가 지원되는 다른 가상화폐들로 옮겨간다면 다른 알트코인들의 시세 반등의 기회가 될 가능성도 있다.

다른 가상화폐업계 관계자는 “지금 시장의 우려 섞인 반응은 조금 과한 측면이 있다”며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를 통해 부실 가상화폐가 대규모 상장폐지되는 거 아니냐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실제 움직임을 지켜봐야 할거 같다”고 말했다.

증권업계에서는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초기에는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으나 결국에는 시장 전반의 신뢰성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20일 보고서에서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한계를 보완할 자율규제로서 시행 초기에는 일정부분 혼란이 나타날 수 있으나 시장 내 자정작용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고 평가했다. 조승리 기자

인기기사

현대건설 건설로봇 원격제어·무인시공 기술 시연, "맞춤형 기술 구현 최선" 배윤주 기자
양수발전 댐 건설 쏟아진다, 첫 타자 영동 양수발전소 수주 삼성·현대·DL 3파전 류수재 기자
[현장] 63빌딩 전망대 '마지막 서울 풍경' 담아보다, "한국인 마음 속 영원한 랜드.. 신재희 기자
미국 약값 인하 위해 바이오시밀러 규제 푼다, 삼바에피스 셀트리온 수혜 예감 장은파 기자
현대차 '수입차 무덤' 일본에 캐스퍼 일렉트릭 투입, 경차 강세 시장에 이정표 쓸까 허원석 기자
여야 모두 발의한 간호법 제정안, 간호사 뺀 보건의료 단체 반대가 변수 김대철 기자
미국에서 희토류 재고 부족 가능성, 중국과 무역분쟁으로 공급망 리스크 커져 김용원 기자
카카오게임즈 스톰게이트에 쏠리는 눈, 한상우 '검은사막' '배그'만큼 키울까 조충희 기자
외환시장 개장시간 연장 앞두고 금융권 '무한 경쟁' 준비 이상 무 조혜경 기자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확보해 성장분야 투자와 주주 환원, 최태원 “AI 리더십.. 김지영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