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동차부품회사 타카타가 에어백 리콜사태 후폭풍으로 파산수순을 밟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6일 타카타가 일본 도쿄지방법원에 파산을 신청하기 위해 최종조정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
![타카타, 에어백 리콜 버티지 못하고 파산 신청할 듯]() |
|
▲ 타카타 시게히사 타카타 회장이 2015년 6월25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과하고 있다.<뉴시스> |
타카타는 다음주에 파산을 신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타카타의 미국자회사인 TK홀딩스도 곧 파산보호를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도쿄증권거래소는 16일부터 타카타의 파산신청이 확인될 때까지 타카타 주식의 거래를 정지했다.
타카타는 2013년부터 에어백 리콜사태를 겪으며 부채가 급증했다.
타카타의 에어백은 팽창기 결함으로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에어백 작동 시 금속파편이 튈 가능성이 확인됐다.
미국당국은 2013년부터 현재까지 타카타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 4200만 대와 팽창기 6900만 개에 리콜명령을 내렸다. 국내에서도 타카타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 22만1870대가 순차적으로 리콜되고 있다.
타카타의 에어백 결함으로 미국에서만 11명, 전 세계적으로 17명이 사망했고 부상자는 수백 명에 이른다.
타카타는 미국 디트로이트 연방법원에서 에어백 결함을 숨긴 혐의가 인정돼 2500만 달러의 벌금을 물게 됐다. 또 에어백을 납품한 완성차회사에 8억5천만 달러, 피해자와 유가족들에게 1억2500만 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해 벌금과 보상금으로 모두 10억 달러를 부담하게 됐다.
리콜비용, 벌금, 보상금 등이 발생하면서 타카타는 10조 원 규모의 부채를 지게된 것으로 추산된다.
타카타는 경쟁회사인 키세이프티시스템에 사업을 매각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어 결국 청산할 것으로 보인다. 매각가격은 1800억 엔으로 알려졌다.
키세이프티시스템은 중국 부품회사인 닝보조이슨전자를 모기업으로 둔 미국 에어백 제조회사이다. 키세이프티시스템이 타카타의 사업을 인수하면 세계 에어백시장에서 2위로 올라설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대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