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사장은 한화생명 입사 뒤 10년 넘게 해외 및 디지털 분야에 집중해왔지만 아직 뚜렷한 실적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특히 최근 김 사장이 설립 과정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디지털 손해보험사 캐롯손해보험이 한화손해보험에 흡수합병되는 수순을 밟으며, 김 사장의 경영성과와 관련해 여러 의견이 제기되고 있던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인도네시아 은행업 진출은 김 사장이 주도한 글로벌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김 사장 개인에게 의미가 남다를 것으로 보인다.
이번 노부은행을 시작으로 한화생명이 해외 금융사 협업이나 지분투자를 가속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융위원회가 2023년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등 보험사 포함 국내 금융사들의 해외사업을 독려한 뒤 대형사 중심으로 해외 진출이 늘어났다.
한화생명도 김 사장 중심으로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베트남과 미국 등 다른 국가에서도 금융사 지분 인수 및 협업을 추진해 왔다.
2023년 6월엔 일본에 부동산 투자회사를 설립하고 2024년 11월에는 미국 증권사 벨로시티 지분 75%를 인수했다.
그 가운데 벨로시티는 한국 보험사가 미국 증권사 지분을 인수한 최초 사례로 시선을 끌었다. 이례적 사례인 만큼 지분 인수 자체만으로 추후 해외 사업에서 다양한 협업이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풀이됐다.
김 사장은 올해 1월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 포럼)에 직접 참석해 해외 벤처투자 전문사인 소프트뱅크벤처스아시아(SBVA), 환태평양 지역 중심으로 활동하는 자산운용사 셀라돈 파트너스 등과 파트너십을 맺기도 했다.
▲ 권혁웅 전 한화오션 부회장(사진)이 한화생명 새 각자대표이사에 내정되며 김동원 사장의 신사업 추진에도 힘이 실릴 가능성이 점쳐진다.
지금까지 김 사장이 쌓아온 행보는 하반기 한화생명 경영진 교체 흐름과 맞물리며 김 사장의 존재감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여승주 대표이사 부회장이 그룹으로 이동하며 권혁웅 전 한화오션 부회장과 이경근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사장이 한화생명 새 각자대표로 내정되는 등 조직 전반적으로 새 판이 구성되고 있다.
특히 권 신임대표 내정자는 기술과 에너지 분야 전문가로서 김 사장이 힘을 기울이는 글로벌 신사업 추진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그룹은 이번 인사를 발표하며 “(권 신임대표가) 인공지능(AI)시대를 맞아 한화생명의 사업 다각화와 지속성장을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시장뿐 아니라 미국 벨로시티 증권사 지분인수 등 다각도에서 해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내 리딩 보험사로서 역량을 발휘해 해외로 사업 영역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