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우 포스코홀딩스 탄소중립전략실 리더가 1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2025 기후경쟁력포럼 : 성장을 위한 전환, 재생에너지 혁신의 마지막 기회’에서 ‘포스코 탈탄소 전략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철강 업계의 탈탄소 전략 이행에 맞춰 기업·정부·시장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민우 포스코홀딩스 탄소중립전략실 리더는 1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2025 기후경쟁력포럼 : 성장을 위한 전환, 재생에너지 혁신의 마지막 기회’에서 ‘포스코 탈탄소 전략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리더는 “철강은 국가 경제안보의 핵심 품목으로이자 탈탄소 시대의 미래 산업 경쟁력의 기초 품목”이라며 “막연한 기대·관망이 아닌 절박한 생존과 냉철한 준비로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스코의 ‘2050 탈탄소 전략’은 수소환원제철 기술 ‘하이렉스(HyREX)’ 도입 수준에 따라 '전환기', '확산기', '정착기'로 나뉜다고 그는 설명했다.
수소환원제철은 철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철과 결합한 산소를 제거(환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을 석탄에서 수소로 대체하는 기술이다.
포스코는 2030년까지는 '전환기'로 하이렉스 기술 실증을 본격 추진한다.
포스코는 수소 유동환원로·전기용해로 등의 실험설비를 활용해 하이렉스 실증 기반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수소환원제철의 전면 생산으로 가는 중간 다리로는 ‘저탄소 브릿지 기술’ 적용을 병행한다.
저탄소 브릿지 기술은 △저탄소 혁신 고로 △전기로 △파이넥스(FINEX, 코크스 제조공정을 생략한 고로) △이탄화탄소포집·저장(CCUS) 등이다.
'확산기'인 2040년까지는 저탄소 브릿지 기술을 확대하고, 하이렉스 상용화를 위한 제반 환경을 갖춘다.
'정착기'인 2050년에는 기술 안정화를 통해 탈탄소 수소환원 제철 생산 체계를 구축한다.
포스코는 탈탄소 전략에 맞춰 2023년 저탄소 제철 연구소를 신설하고, 2024년 하이렉스 추진반 및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를 출범했다.
지난달 26일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국책 과제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 2030년까지 30만 톤 급 플랜트 실증 과제를 수행하게 됐다.
포스코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광양 제철소에 전기로를 구축하고 있으며 용선비(HMR) 하향, 상저취 전로기술, 이산화탄소포집·저장 기술을 실증하고 있다.
이 리더는 "기업은 탄소감축을 촉진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정부 차원에서는 초기 연구개발, 실증, 상용화, 건설·운영 등 전 과정에 대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수소환원제철에 필요한 전력과 에너지 인프라, 청정수소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 주도의 기반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탄소저감 철강제품 시장 창출과 ‘탈탄소 프리미엄’과 관련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수요자들의 탄소저감 제품에 대한 수용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급자인 기업과 수요자인 시장, 정부가 탄소감축 비용을 함께 부담하고 효익을 공유할 수 있는 협력구조가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규제 관점이 아닌 미래 산업경쟁력 강화의 관점에서 ‘저탄소 전환’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제적으로는 △현실적 NDC 2035 설정 △주력 산업 무상할당 유지 △합리적 배출권 제도 재편 △탈탄소 전환을 위한 브릿지 기술 지원 확대 △일관된 정부 거버넌스 체계 유지 등의 정책 제언을 내놨다.
이 리더는 “기업이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정부는 제도와 인프라를 정비·구축한다면 탈탄소와 미래성장동력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