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면제나 미국 중국 무역협상 타결과 같은 외부 변수에 명운을 걸어야만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체적으로 미국의 중국 수입품 관세에 해결책을 내놓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애플 아이폰16 홍보용 이미지. |
[비즈니스포스트] 애플이 미국 트럼프 정부의 대중국 관세에 활로를 찾기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과 중국이 무역 협상을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어가지 않는 이상 애플이 관세 타격을 고스란히 떠안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는 의미다.
미국 CNBC는 11일 증권사 웨드부시 연구원의 분석을 인용해 “애플은 트럼프 정부 관세로 구명보트도 없이 바다 위에서 뒤집힌 난파선 같은 처지에 놓였다”고 보도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연구원은 애플이 미국 정부의 대중국 관세로 지난 수 년 동안의 성과를 원점으로 되돌릴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에 적용하는 수입관세율을 145%로 발표했다. 처음 제시됐던 관세 수준인 54%와 비교해 크게 높아진 것이다.
시장 조사기관 옴디아는 54% 안팎의 관세도 심각한 수준이지만 애플이 이를 감당할 수는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을 전했다.
그러나 미국이 145% 관세를 예고한 만큼 아이폰과 같은 제품을 중국에서 제조해 수입하는 애플이 대책을 마련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것이다.
CNBC는 결국 애플이 앞으로 이뤄질 미국과 중국 사이 무역협상에 기대를 걸어야만 한다고 전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에 자체적으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할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애플은 우선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 재고량을 미국에 최대한 많이 비축해두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옴디아는 이런 방식이 애플에 최선의 대응책이라고 평가하며 관세 타격을 일정 기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장기적으로 미국 내 재고가 떨어지면 중국에 집중된 생산거점을 다른 국가로 다변화하는 일이 필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졌다.
다만 이러한 생산 거점 이전에는 적어도 1~2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마저도 완전한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CNBC는 애플이 결국 트럼프 정부에서 관세 면제를 받거나 미국과 중국이 무역 협상에 타결하는 시나리오만이 최선의 길이라는 전문가 분석을 전했다.
조사기관 퓨처럼그룹은 애플이 미국에 발표한 5천억 달러 규모 인공지능 투자 발표도 결국 트럼프 정부와 협상의 여지를 열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조사기관 모펫네이선슨은 “중국 관세율 조정이나 애플에 수입관세 면제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며 “미국이 다른 국가에 부과하는 10%의 기본 관세만으로도 충분히 큰 부담 요소”라고 전망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