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석탄 산업 부흥을 위한 행정명령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석탄 산업 부흥을 목적으로 발표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정책이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0일(현지시각) 로이터는 '국제 에너지 경제 및 재무분석 연구소(IEEFA)' 보고서를 인용해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석탄 산업 부흥책이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8일 백악관에서 석탄발전소 수명 연장과 석탄 채굴량 증대 등을 목적으로 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IEEFA는 이에 트럼프 정부 명령에 지난 4년 동안 폐쇄된 미국 국내 석탄발전소 102곳이 재가동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들을 모두 더하면 미국은 신규 발전량 3만6566메가와트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IEEFA는 폐쇄된 발전소 가운데 제대로 된 신뢰성을 갖춘 곳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폐쇄 발전소들의 연령 중위값만 따져봐도 56년에 이르기 때문이다. 석탄발전소는 그 특성상 설비가 노후해질 수록 유지보수 비용이 급증한다.
또 IEEFA는 현재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석탄발전소들도 이미 낮은 가동률로 운영되고 있다는 현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국내 석탄발전소들은 실제 가동 가능한 시간의 약 40% 동안에만 제대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IEEFA는 이 때문에 미국 전력 기업 가운데 대다수가 데이터센터 등으로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석탄보다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태양광, 풍력 등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IEEFA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유지보수 상태가 불확실하고 미래 운영 성과도 예측하기 어려운 폐쇄 석탄발전소를 재가동하기 위해 전기요금 납부자와 납세자들의 돈을 투입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어떤 관점에서도 합리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