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문희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서울 용산역세권 개발로 재무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수도권 전철 요금을 인상을 앞두고 있지만 KTX를 비롯한 철도요금 인상은 당분간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상황에서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숙원사업이었던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적자에 시달리며 나빠진 재무구조를 점차 개선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9일 코레일에 따르면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와 오는 3월15일부터 수도권 광역 전철 기본요금을 1400원(교통카드 기준)에서 1550원으로 인상하기로 합의했다.
2023년 서울시는 전철 기본요금 300원을 150원씩 두 차례로 나눠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2023년 10월 7일 지하철 기본요금을 1250원에서 1400원으로 150원을 한 차례 인상했다.
지난해에는 정부의 공공요금 동결 기조에 맞춰 지하철 요금을 동결했다.
다만 코레일의 전체 매출에 있어 전철이 자치하는 비중이 낮은 만큼 이번 수도권 전철 기본요금 인상은 코레일의 재무건전성을 개선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기준 코레일의 별도기준 매출 5조8159억 원 가운데 고속열차(KTX)와 일반열차(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통근열차) 등을 포함하는 여객사업은 3조2135억 원으로 60% 가량을 차지한다.
수도권 광역전철과 ITX-청춘 열차에 해당하는 광역사업은 1조1312억 원으로 20%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코레일은 지난해 여러 차례 운임인상을 요청했지만 국토부는 경제 전반의 물가 상승이 서민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우려해 논의를 진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KTX 요금은 2011년 뒤 14년째 동결 상태이다.
한 사장은 부채해결을 위한 해결방안으로 KTX 운임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지만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한 사장은 지난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KTX 요금이 2011년 4.9% 올린 것을 끝으로 13년째 동결 중"이라며 "그동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4.2%가 올랐다"고 말했다.
코레일은 2024년~2028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 “2011년부터 동결된 간선여객 운임 현실화 및 물가상승률 수준과 연동한 합리적 운임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코레일은 열차운임이 공공성을 이유로 동결되면서 영업 손실이 지속됐고 이로 인해 2022년 부채규모가 20조 원을 넘겼다.
코레일의 부채규모는 2021년 18조6608억 원에서 2022년 20조405억 원, 2023년 20조4654억 원, 지난해 상반기 말 기준 20조8109억 원으로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부채비율은 2020년 247.8%에서 2021년 287.3%로 상승한 뒤 2022년 222.6%, 2023년 237.9%, 지난해 상반기 기준 252.4%로 200% 중반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영업손실은 2021년 8881억 원에서 2022년 3970억 원으로 감소한 뒤 2023년 4415억 원, 지난해 상반기 기준 1668억 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코레일은 만성적 누적 적자 해소와 재무구조 개선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국회 국토교통위는 2024년 국정 감사보고서에서 코레일과 관련해 “부채 해결을 위해서는 철도 운임인상, 용산 역세권 토지매각, 코레일·에스알 통합, 적자노선 구조조정 등의 방안을 종합해서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가운데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코레일의 재무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핵심 방안으로 꼽힌다.
한 사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코레일의 재무구조 개선과 철도안전투자의 구심점이 될 중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용산국제업무지구는 기존의 토지매각 중심의 개발 방식이 아닌 기획·인허가·마케팅·분양까지 수행하는 새로운 모델인 만큼 사업시행자이자 토지주로서 방향키를 쥐고 개발사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코레일의 ‘2024~2028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을 살펴보면 자구노력을 통한 재무관리방안으로 5년간 11조5834억 원을 마련하는데 이 가운데 용산역세권을 포함한 비핵심 자산매각이 11조234억 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코레일은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에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2조1117억 원, 2027년부터 2028년까지 7조 7907억 원 규모의 부지를 매각해 10조 원 규모의 자산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함께 코레일은 용산역세권 보유자산 매각에 영업흑자 전환을 더해 부채비율을 2028년 143.2%로 현재보다 100%포인트 이상 끌어내린다는 목표도 정해뒀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오랫동안 사업이 지연되면서 코레일에게 부담을 주고 있었다.
용산역세권 개발 지연은 운임동결과 함께 코레일의 주요 재무위험 요인으로 꼽혔다. 2024년만 해도 애초 계획(2020~2024년분)보다 순이익을 2081억 원이나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올해 코레일은 상반기에 용산역세권 개발사업 계획의 인허가를 받고 하반기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6월 용산역세권 도시개발구역이 지정돼 개발계획이 심의를 통과했고 같은 해 12월 코레일이 용산역세권의 도시개발사업 시행자로 지정됐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이와 관련한 보도자료를 통해 "10년 이상 방치돼 온 용산정비창 부지의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며 "사업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용산역세권 개발 사업은 용산역 인근에 옛 용산정비창 부지 50만㎡(코레일 소유 70%, 국공유지 30%)의 대규모 땅을 국제업무와 주거·공원녹지를 갖춘 융복합 지구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2007년에 민간 주도로 사업을 추진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 시행사 부도로 무산돼 장기간 개발이 지연됐다. 이에 2018년 5월 코레일이 부지에 대한 소유권을 회복했다.
이후 사업 재추진에 대한 국토부, 기재부 등 관계기관 협의 속에 2020년 12월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치고 코레일은 공공 주도의 개발을 위해 2021년 5월 서울도시주택공사와의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코레일과 서울도시주택공사가 각각70%, 30%씩 해당 부지의 지분을 확보하고 사업시행자로 나서며 안정된 체계로 사업 재추진을 준비해 왔다.
정진원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용산역세권 및 부산정비단 등의 개발계획이 다소 지연되고 있으나 이후 원활히 진행되면 코레일의 코레일의 재무구조에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