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월 말에 인공지능(AI) 컴퓨팅 기반시설 발전전략을 마련해 발표한다고 4일 밝혔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추진상황 국민 보고회’에서 AI 세계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AI 산업 기반 확충 계획을 설명했다.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도 핵심과제 추진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정부는 7일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사업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2월 말에는 AI 컴퓨팅 기반 시설 확충, 데이터센터 규제 개선 등을 담은 AI 컴퓨팅 기반시설 발전전략을 발표한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최대 2조 원을 투입해 민관 합작으로 구축하는 데이터센터다. 엔비디아 등 외국산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우선 설치하고 점진적으로 국산 AI 반도체 비율을 높여나간다.
이날 유 장관은 2026년 말, 늦어도 2027년 초까지 GPU 3만 장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는 기존 목표였던 2030년보다 3년가량 단축되는 것이다.
유 장관은 “올해는 1만5천 장 정도는 구비가 되면 되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원래 2030년까지 그렇게 국가 재원을 쓰기로 했으니 그걸 앞당기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10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AI행동 정상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해 ‘국제AI안전연구소 관계망’ 의장국 수임을 제안하겠다는 방침도 소개했다.
AI 분야에 관한 추경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관련해 “일어난다면 AI의 GPU 구입은 반드시 이뤄지면 좋겠다”며 “국가 예산 677조 원 중 1조 원 정도를 AI에 쓰는 게 무리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고 더 쓸 수 있으면 써야 되는게 맞다”고 말했다.
중국 인공지능 플랫폼 ‘딥시크’와 관련해서는 “우리도 딥시크가 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 모델이 한 10개 정도 된다”며 “우리 스타트업들에 상당한 용기를 준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동통신사들이 휴대전화 판매 대리점에 지급하는 판매장려금을 담합했다는 의혹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제재 절차에 관해서는 “합당한 제재를 받는 것에 기본적으로 동의한다”며 “선례를 남긴다는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볼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