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초에 금고은행이 결정된 서울시금고 예산 32조 원과 비교하면 규모가 작지만 네 곳을 합치면 21조8천억 원에 이르러 은행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이 지방자치단체들의 2018년 예산 규모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광역시 8조9천억 원, 전라북도 6조4천억 원, 제주특별자치도 5조 원, 세종특별자치시 1조5천억 원에 이른다.
5월 초 서울시에서는 신한은행이 최근 30조 원 규모의 1금고 운영권을 따내 우리은행의 장기 독점체제를 무너뜨렸다. 우리은행은 2조 원 규모의 2금고 운영권을 확보하는 데에 그쳤다.
은행들은 7월경에 입찰공고가 나는 인천광역시에 특히 관심을 쏟고 있다. 예산 규모가 크고 시 금고지기가 되면 8개 구의 금고은행으로 선정되는 데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현재 인천광역시 1금고는 신한은행, 2금고는 NH농협은행이 운영권을 보유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2007년부터 인천시 1금고를 운영하면서 자체 전산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성을 노리고 있다.
인천 내 입지도 두텁다. 현재 인천 구 8곳의 금고를 모두 운영하고 있고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의 영업점·환전소 운영사업자와 인천지방법원 공탁금 관리은행을 각각 맡고 있다.
서울시 1금고의 운영권을 얻으면서 강화된 기관영업력도 보여줬다. 위성호 신한은행장은 연초 조직 개편에서 기관영업부문을 기관그룹으로 확대하고 담당 부행장도 새로 만들었다.
우리은행은 서울시 1금고 자리를 빼앗긴 아쉬움을 딛고 인천시 1금고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2월부터 인천시금고 입찰 관련 태스크포스팀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2금고를 여전히 쥐고 있는 등 지방자치단체의 대규모 예산을 운영한 경험이 풍부한 것이 강점으로 지목된다. 2006년까지 인천시 2금고를 운영한 경력도 있다.
KEB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도 인천시금고 운영권을 둘러싼 경쟁의 복병으로 꼽힌다.
KEB하나은행은 2017년 인천 청라 하나금융타운에 통합전산센터를 세우고 은행 전산센터도 이전했다. 이때부터 인천시금고 운영권을 확보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말이 나돌았다.
KB국민은행은 비록 쓴잔을 마셨지만 서울시 1금고와 2금고에 모두 도전하면서 허인 행장의 취임 이후 추진된 기관영업 강화 기조를 유지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농협은행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인천시 2금고 운영권을 쥐고 있는 만큼 경쟁에서 한 발짝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문제는 다른 지역들이다.
농협은행은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3곳의 1금고지기를 모두 맡고 있다. 세 곳을 모두 합치면 12조9천억 원으로 결코 만만히 볼 규모가 아니다.
농협은행은 지방자치단체 상당수의 금고 예산을 오랫동안 운영해 왔던 만큼 유리한 위치에 서 있지만 다른 시중은행들도 기관영업을 대폭 강화하고 있어 경쟁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주요 은행들의 출연금 경쟁이 과열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은행이 지방자치단체에 더욱 많은 출연금을 낼수록 금고지기로 선정될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신한은행은 5월 초 서울시 1금고 운영권을 놓고 경쟁했을 때 서울시에 출연금 3015억 원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4년 동안 냈던 출연금 1299억 원을 훌쩍 넘어서는 규모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가계대출 규제의 강화와 공무원 등의 우량고객 확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금고예산에 눈독을 들이는 것은 이해가 간다”면서도 “개인 소비자의 대출이자나 상품수수료 등으로 대규모 출연금을 메우는 방식으로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문제”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