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은 19일 서울대학교 총장공관에서 KT 및 서울대학교와 '전력산업 특화 인공지능(AI) 개발과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오른쪽)과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장(왼쪽),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가운데)이 19일 서울대학교 총장공관에서 '전력산업 특화 인공지능(AI) 개발과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한국전력>
이번 협약은 전력망 스마트화와 분산e 확산 등 에너지산업 환경변화와 연계해 전력산업에 특화된 AI 솔루션과 인프라를 개발·활용함으로써 국가 전력시스템 전반의 효율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협약에 참여한 3개 기관은 먼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 전력산업 특화 AI 솔루션·보안시스템 구축안’을 마련하고 실증함으로써 첨단 생성형 AI의 학습·추론 기능 등을 활용해 전력시스템을 획기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및 AI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과 AI 기반 에너지 신사업·신기술 활성화를 위한 연관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단계적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향후 세 기관은 에너지·AI 융합 프로젝트의 협력 범위를 혁신벤처와 스타트업 등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해 에너지·AI 특화 솔루션 비즈모델 개발과 해외시장 공동 진출에 앞장서 국가 미래성장동력 창출에 기여할 계획을 세웠다.
협약기관별 주요 역할을 보면 한전은 전력산업 특화 AI 개발·활용 기본방향 및 실행전략을 마련하고 AI기반 융복합 신사업모델 발굴·실증을 총괄한다. 서울대는 전력시스템 선진화 전략방향 제시, 보안기준 정립, 전문인력 양성 등을 맡는다. KT는 보안기술 적용 클라우드 AI모델 연계 실증, 최적 AI 솔루션 제시 등을 담당한다.
또 한전은 AI의 예측력과 실시간 대응력을 활용해 전력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대고객 서비스 혁신 및 정보기술(IT)산업과의 신사업 공동개발 등 범국가적 편익을 극대화하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금은 인공지능 융복합 기술에 기반한 에너지 생태계 전반의 AI 대전환과 미래 도약의 기회를 적극 모색할 때”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3개 기관이 힘을 모은다면 우리나라 전력산업은 글로벌 에너지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새로운 시장을 선도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