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허베이성 바오딩시에 위치한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연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석탄발전 퇴출을 약속한 중국이 이에 역행하는 행보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13일(현지시각) 로이터는 핀란드 기후 싱크탱크 '에너지 및 청정대기센터(CREA)'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이 지난해 석탄발전량을 94.5기가와트 늘린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량이었다.
앞서 중국은 2020년 현행 5개년 에너지 계획 기간(2021년~2025년) 동안 석탄발전량 확대를 엄격하게 통제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산업 발전에 따른 전력 부족 우려가 커지면서 2023년부터 석탄발전소를 급속도로 늘려왔다.
이에 치친 CREA 연구원은 로이터 인터뷰에서 "중국 전력 체계에서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이 오랫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신속하게 줄이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이는 글로벌 기후목표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지금 중국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수립해 제출해야 하는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같은 기간 동안 재생에너지 발전용량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중국은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356기가와트 늘렸다.
이에 중국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1200기가와트를 넘겨 2030년까지로 설정됐던 재생에너지 확충목표를 조기달성하게 됐다.
CREA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여전히 확보한 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연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특히 지난해 말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율은 급격하게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중국 정부는 차기 5개년 에너지 계획 기간(2026년~2030년) 동안 석탄 사용을 줄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를 통해 2030년이 되기 전에 자국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세로 돌리겠다는 것이다.
CREA는 중국 정부의 계획이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국내 발전사업자들이 차기 5개년 계획 기간이 되면 규제가 강해질 것을 우려해 시행 전에 최대한 많은 발전량을 확보하고자 석탄발전소를 무분별하게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치친 연구원은 "중국의 현재 석탄발전소 확장세는 에너지 안보를 명분으로 한 석탄 산업계의 이익을 반영한 것"이라며 "이들은 2030년 탄소 감축 계획과 2060년 탄소중립 목표가 가져올 제약을 인식하고 있고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최대한 많은 석탄발전소를 확보하고자 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