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정부가 발표한 경기 부양책이 시장에 실망감을 안기며 국내 증시 등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11일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경기브리프 보고서를 통해 “실물 경기 재정 부양정책 부재로 중국 경기의 강한 움직임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면서 국내 경기와 증시·외환시장에 부담이 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 란포안 중국 재정부장(장관)이 8일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제12차 회의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중국 정부는 10조 위안의 부양카드를 내놓았지만 막상 실물경기와 관련된 부양책을 발표하지 않았다. 지방정부 부채, 특히 그림자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5년 동안 10조 위안을 쓰기로 했다.
중국 정부가 숨겨진 부채(그림자 부채)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점은 한 걸음 더 나아간 정책기조로 평가할 수 있지만 이는 부채 위험이 상당 기간 중국 부동산 및 실물 경기에 부담을 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박 연구원은 “중국은 엄습하고 있는 물가하락(디플레이션)과 저성장 굴레를 쉽게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며 “중국 재정부양책 실망감은 중국 주가지수선물 급락과 역외 달러/위안 환율 급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재정 부양책을 실시하지 않은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트럼프 당선인이 2025년 1월 취임 이후 대중 정책을 확인한 뒤 대응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했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트럼프 공약처럼 대중 수입품에 60% 관세가 부과될지 등을 확인한 뒤 중국이 추가 재정부양 정책을 내놓을 공산이 크다”며 “섣부른 경기부양 카드를 내놓기 보다 신중한 입장을 유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중국 경기 회복 움직임이 더뎌지면서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것으로 예측됐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관세 충격을 상쇄하기 위한 차원에서 위안화 가치를 대폭 절하한다면 아시아 전체 금융시장의 잠재적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관세 충격 상쇄를 위해 위안화 가치가 절하된다면 원/달러 환율 1400원대 안착이 불가피하다”며 “미국과 중국 불확실성 위험 확대로 국내 경기의 하방 압력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바라봤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