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디스플레이 올레드 제조서 버려지는 '퀀텀닷 잉크' 재활용 기술개발, 100억 원가절감

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 2024-10-28 11:14:0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디스플레이 올레드 제조서 버려지는 '퀀텀닷 잉크' 재활용 기술개발, 100억 원가절감
▲  삼성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퀀텀닷-올레드(QD-OLED)' 제품에 사용되는 레드, 그린 QD 잉크. <삼성디스플레이> 
[비즈니스포스트] 삼성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퀀텀닷-올레드(QD-OLED) 핵심재료 '퀀텀닷 잉크'의 재활용 길을 열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QD-OLED 제조공정에서 버려지는 QD 잉크를 수거해 재활용하는 기술을 확보했다고 28일 밝혔다.

QD 발광층을 구현하는 세부 공정에서 버려지는 잉크의 80%를 수거, 재가공함으로써 1년에 100억 원 이상의 원가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QD 발광층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QD-OLED의 핵심 구조다. 미세 노즐을 통해 적색과 녹색의 QD 잉크를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조밀하게 분사하는데, 이 때 노즐에 남아있던 QD 잉크는 그동안 모두 폐기됐다.

이는 공정에 투입되는 전체 QD 잉크의 20% 수준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고가의 소재인 QD 잉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지난해 12월 대형사업부 BP기술팀을 비롯한 제조·개발·연구소·환경안전·구매팀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를 꾸려 올해 8월 QD 잉크 재수거 설비 개발에 성공했다.

재생 잉크는 순도, 광특성을 높이는 고난도의 합성기술을 거쳐, 품질 테스트에서 오리지널 잉크와 동일한 성능을 내고 있으며, 10월부터 양산라인에 사용되고 있다. 나병현 기자

최신기사

DS투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우호적 환율 지속, 관세 우려는 과다"
[채널Who] '네이버 카리스마' 이해진 8년 만에 경영 일선으로, '빅테크 대격랑'에..
[전국지표조사] 정당지지도, 민주당 37% 국민의힘 33% 조국혁신당 6%
HD현대사이트솔루션 조영철 "관세에도 북미전략 변화 없어, 불확실성은 지속"
[전국지표조사] 차기 대선 놓고 '정권교체' 51%, '정권재창출' 33%
현대제철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추진에 주민 반발, "환경오염과 안전 우려"
[전국지표조사] 윤석열 탄핵심판, '파면해야' 57% VS '기각해야' 35%
비트코인 시세 하락에도 지지기반 굳건, 기관 및 대형 투자자 매수세 지속
[전국지표조사] 대선주자 적합도 이재명 33% 김문수 9%, 3배 이상 앞서
현대차 대표 호세 무뇨스 "트럼프 관세 놀랍지 않아, 미국서 자동차 가격 인상 계획 없어"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