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LG디스플레이 2분기 태블릿 올레드 82% 점유율 확보, 아이패드 효과

김호현 기자 hsmyk@businesspost.co.kr 2024-08-13 09:38:1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LG디스플레이 2분기 태블릿 올레드 82% 점유율 확보, 아이패드 효과
▲ 디스플레이 전문 매체 DSCC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올해 2분기 태블릿 올레드(OLED) 패널 점유율을 각각 41%씩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태블릿 OLED 패널 출하량과 성장률 그래프. < DSCC > 
[비즈니스포스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올해 2분기 태블릿 올레드(OLED) 패널 점유율을 각각 41%씩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46%의 점유율로 태블릿 OLED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됐다.

디스플레이 전문매체 DSCC는 13일 보고서를 내고 올해 태블릿 OLED 패널 출하량이 1400만 개 이상으로, 지난해보다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애플의 11.1인치와 13인치 아이패드 프로 출시 영향으로 올해 2분기 태블릿 OLED 패널 출하량은 411만 대로, 역대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이는 전분기 대비 142%, 지난해 2분기 대비 356% 증가한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애플에 OLED 패널을 공급하며 2024년 2분기 각각 점유율 41%씩을 기록해, OLED 공급의 대부분을 담당했다.

3분기에는 지난해보다 169% 증가한 390만 개의 OLED 태블릿 패널이 출하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아이패드 프로의 판매량 감소로 OLED 태블릿 패널 성장률은 5%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3분기 OLED 태블릿 패널 공급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DSCC는 “삼성디스플레이는 46%의 점유율로 3분기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며 “LG디스플레이가 25%, EDO가 23%로 뒤 따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호현 기자

최신기사

DS투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우호적 환율 지속, 관세 우려는 과다"
[채널Who] '네이버 카리스마' 이해진 8년 만에 경영 일선으로, '빅테크 대격랑'에..
[전국지표조사] 정당지지도, 민주당 37% 국민의힘 33% 조국혁신당 6%
HD현대사이트솔루션 조영철 "관세에도 북미전략 변화 없어, 불확실성은 지속"
[전국지표조사] 차기 대선 놓고 '정권교체' 51%, '정권재창출' 33%
현대제철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추진에 주민 반발, "환경오염과 안전 우려"
[전국지표조사] 윤석열 탄핵심판, '파면해야' 57% VS '기각해야' 35%
비트코인 시세 하락에도 지지기반 굳건, 기관 및 대형 투자자 매수세 지속
[전국지표조사] 대선주자 적합도 이재명 33% 김문수 9%, 3배 이상 앞서
현대차 대표 호세 무뇨스 "트럼프 관세 놀랍지 않아, 미국서 자동차 가격 인상 계획 없어"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