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금융  금융

[노후, K퇴직연금을 묻다 프롤로그④] 강성호 보험연구원 센터장 “퇴직연금 중도 누수 막아야 노후소득 된다”

박혜린 기자 phl@businesspost.co.kr 2024-05-16 08:3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2024년 당신의 노후 계획은 안녕하십니까. 2024년 한국사회는 퇴직연금을 도입한 지 20년차를 맞았다. 하지만 퇴직연금이 퇴직 이후 안정적 삶을 보장하는 진정한 의미의 '퇴직연금'이 되기 위해선 여전히 가야할 길이 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비즈니스포스트는 특별취재팀을 꾸려 퇴직연금 선진국을 찾는다. 우리보다 앞서 제도를 도입한 호주, 일본, 미국의 퇴직연금 장단점을 알아보고 국내 퇴직연금제도가 가야할 방향을 모색한다. <편집자 주>

- 프롤로그 글 싣는 순서
① 여전히 헷갈리는 DB DC IRP, 대한민국 '400조 시장'의 민낯
② 한국 47% 미국 81%, 퇴직연금 성적표가 소득대체율 갈랐다
③ 디폴트옵션 시행 1년, 퇴직연금 상품 여전히 원리금보장형 일색
④ [인터뷰] 강성호 보험연구원 고령화센터장 “퇴직연금 중도 누수 막아야 노후소득 된다”
⑤ [인터뷰] 김경록 미래에셋 고문 “퇴직연금 전문기관 운용 기금형 제도 확대해야”

 
[노후, K퇴직연금을 묻다 프롤로그④] 강성호 보험연구원 센터장 “퇴직연금 중도 누수 막아야 노후소득 된다”
▲ 강성호 보험연구원 고령화센터장은 퇴직연금이 노후자산으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중도인출과 일시금 수령 비중을 낮추기 위한 제도개선이 중요하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이 미국이나 호주처럼 연금 선진국이 되려면 퇴직연금의 중간 누수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강성호 보험연구원 고령화센터장은 5월 초 서울 여의도 보험연구원에서 진행한 비즈니스포스트와 인터뷰에서 한국 퇴직연금의 핵심 문제로 적립금이 단기적 운영에 그치고 있는 점을 꼽았다.

퇴직연금은 말 그대로 은퇴 뒤 생활을 위한 자금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은 퇴직연금을 직장생활 중 주택 마련, 자녀의 교육과 결혼 비용 등으로 써버리는 경우가 너무 많다.

이렇다 보니 20년, 30년 열심히 직장생활을 하고 꼬박꼬박 연봉의 8.3%를 적립해도 정작 노후에 빈 손이 되는 사례가 다반사다. 이름은 퇴직‘연금’이지만 들여다보면 연금으로서 역할은 전혀 못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강 센터장이 통계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주로 30, 40대 시기에 주택구입과 임차 등 주거 관련 자금으로 퇴직연금을 중도인출하는 데 그  규모가 연간 약 2조 원에 이른다.

이직에 따라서도 연간 약 10조 원 규모의 퇴직연금이 새 나가고 있다.

정부는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 제도를 통해 직장을 옮겨도 퇴직연금 운용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하지만 현실은 이직 뒤 IRP 계좌를 해지해 퇴직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아 쓰는 비중이 95% 수준으로 매우 높다.

한국은 55세 이상이 돼 퇴직연금을 정상적으로 수령할 때도 대부분 일시금 지급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센터장은 "퇴직연금을 중간에 빼 쓰게 되면 그 뒤 다시 적립한다해도 노후 자산이 될 정도의 규모로 모으기 쉽지 않다"며 "그러니 은퇴 때도 ‘이거 연금으로 받을 의미도 없겠다’ 싶어 또 다시 일시금으로 수령하게 되는 악순환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퇴직연금의 연금 수령자와 일시금 수령자의 평균 적립금은 각각 1억5500만 원과 2500만 원으로 6배가량 차이가 났다.

수령 방식 비중을 살펴보면 연금 수령자는 7.1%에 그쳤고 일시금 수령자가 92.9%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강 센터장은 국민연금으로는 노후 보장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고려할 때 퇴직연금의 중도인출 없는 장기운용과 은퇴시 연금 수령 확대 방안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과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를 위해 퇴직소득세 등 세금체계부터 다양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강 센터장은 “미국과 영국, 스위스 등 대부분의 국가들은 연금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해 세금을 매긴다”며 “그렇다보니 퇴직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아 자금을 융통하려다가도 세금이 너무 높으니 55세까지 연금 형태로 가져가야겠다는 선택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미국를 보면 퇴직연금을 조기인출하거나 일시금으로 수령하면 중과세와 패널티를 부과한다. 퇴직연금을 일시금으로 수령하면 누진종합소득세를 적용하고 조기인출에는 패널티 10%가 적용된다.

이에 미국은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일시금 수령 비중이 20~30대는 10~13% 수준이고 60대 이상은 2~5%에 그친다. 대부분이 연금으로 퇴직금을 수령해 퇴직연금이 노후 자금으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노후, K퇴직연금을 묻다 프롤로그④] 강성호 보험연구원 센터장 “퇴직연금 중도 누수 막아야 노후소득 된다”
▲ 맥킨지의 ‘글로벌 보장격차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연금의 노후보장 수준을 가늠하는 소득대체율이 47% 수준으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권고안인 65~75%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은 소득대체율이 81.3%에 이른다. <생명보험협회>
한국은 2023년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약 385조 원에 이른다. 

적립금 규모가 한 해 평균 40조 원 이상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잘 운용하면 노후자산으로 상당한 역할을 해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바라본다.

강 센터장은 “한국의 현재 퇴직연금이 약 400조 원 규모인데 중도인출과 이직 때 해지로 빠져나가는 돈만 없었어도 적립금이 500조 원은 됐을 것이다”며 “퇴직연금 사업자가 장기적 관점에서 운용 전략을 가동하기 위해서도 퇴직연금의 중도인출과 일시금 수령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 센터장은 1970년생으로 경북 영천 영동고등학교, 성균관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경제학(재정금융)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보건사회 연구원, 국민연금 연구원, 보험연구원 사회안전망연구실 실장 등을 지내면서 공적연금, 사적연금을 아우르며 활발한 연구활동을 펼쳐온 ‘연금 전문가’다. 2022년부터 보험연구원 고령화센터장을 맡고 있다. 박혜린 기자

최신기사

현대차그룹 정의선, 도요타 아키오 회장과 일본 WRC 현장서 한달만에 재회
국제로봇연맹 "한국 제조업 로봇밀도 세계 1위, 직원 1만 명당 1012대"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회의, 부산 벡스코에서 25일 개최
COP29 진통 끝 폐막, 선진국 부담금 '최소 연간 3천억 달러'로 합의
기아 LG전자 삼성전자, 포브스 선정 '엔지니어를 위한 최고 기업' 상위권
김병환 "손태승 부당대출 사건 엄정하게 대처할 것, 대출금리 인하는 은행들과 협의"
현대엔지니어링 방화3구역 재건축사업 수주, 올해 도시정비사업 수주 1조 넘겨
삼성전자, 미국 특허소송에서 "넷리스트에 1억1800만 달러 배상" 평결 받아
일본 반도체 육성 투트랙 전략, 라피더스 지원과 TSMC 투자 유치에 돈 쏟는다
장동민 효과로 ‘피의게임 시즌3’ 히트, 웨이브 ‘티빙 합병’ 분위기도 바꾸나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