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원에서 ‘반도체 지원 법안’이 통과되면서 520억 달러의 반도체 사업 지원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반도체 기업과 함께 삼성전자도 지원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170억 달러(약 20조 원)를 들여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재무 부담이 대폭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 시설투자액의 40%는 세제혜택으로 돌려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국내에서도 반도체사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가시화되고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는 23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았는데 이날 제출된 자료에는 국내 반도체기업에 ‘해외 선진업체’ 수준의 인프라를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반도체 펀드 조성’, ‘반도체 인력 10만 명 양성’ 등의 계획도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여전히 시스템반도체산업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만큼 삼성전자에게도 많은 기회가 열려있다.
삼성전자가 3나노 공정과 그 다음 첨단 공정에서 성과를 낼 수 있다면 현재 1등인 TSMC와 시장점유율 격차도 충분히 좁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윤석열 정부의 국내 반도체사업 지원 정책이 기존보다 더 적극적으로 변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대만은 오래 전부터 반도체를 국가사업으로 규정하고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장비, 반도체 소재 등 다양한 분야를 정부가 발을 벗고 나서서 지원해 왔다.
그동안 메모리산업 육성에만 집중했던 한국과 달리 전체 반도체산업 생태계를 갖춰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전략을 펼친 것이다.
오윤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전문연구원은 ‘대만 반도체 전략의 주요 내용과 전망’이라는 보고서에서 “대만의 반도체 전략은 △제조기반 강화 △기술 및 핵심 장비·소재 경쟁력 강화 △고급 인재의 안정적 확보를 통해 새로운 기술의 우위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바라봤다.
오 전문연구원은 “향후 K-반도체 전략의 세부 과제를 추진하면서 대만의 산학연 연계,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대기업 활용방안 등을 참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