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 3국 공동 언론 브리핑에서 김종철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력국장(가운데)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가 미국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에 대응해 한국과 중국, 일본 사이 경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를 기회로 삼아 중국을 핵심 무역 파트너로 강조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3일 “한중일 3국의 대화 재개는 글로벌 정치 환경에 중요한 변화”라며 “아시아 경제 대국 3곳이 다시금 손을 잡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세 국가 사이 경제협력 논의가 활발해지는 것은 미국 정부의 압박에 굴복하지 않으려는 한국과 중국, 일본의 의지를 담고 있다고 해석했다.
트럼프 정부가 동맹국 및 우방국에도 고율 관세 부과를 결정하며 한국과 일본을 겨냥한 만큼 두 국가에 딜레마가 커지고 있어 새로운 전략이 필요해졌다는 것이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은 한국 및 일본과 자유무역 협정 논의를 재개해 공급망 안정화를 목표로 할 것”이라며 “특히 디지털 및 친환경 산업에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대립으로 불안해지는 세계 경제 환경에서 균형을 찾는 것보다 더 유리한 선택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경제 논리에 휘둘리는 대신 중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대안을 찾아야 한다며 적극 설득에 나선 셈이다.
글로벌타임스는 “한중일 협력 모델은 글로벌 보호무역 확산에도 새롭게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며 “미국의 압박에도 관계 강화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가 한중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한국과 일본에 사실상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로 한국과 일본 경제 상황이 갈수록 불안해지는 상황을 고려해 중국과 무역 및 경제 협력이 이를 만회할 방법이 될 것이라며 적극 손을 내민 셈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최근 약 5년만의 통상장관 회의를 열고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를 비롯한 정책에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글로벌타임스는 “한중일 대화 재개는 세 국가의 관계에 중요한 이정표”라며 “이는 아시아 지역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데도 첫 걸음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