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희승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14일 경기도 고양시 KTX 차량기지를 방문해 차륜교체 작업을 점검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
나희승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철도 안전 확보에 고삐를 죄고 있다.
5일 발생한 KTX 열차의 탈선사고 원인을 놓고 차량결함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철도여객 수요가 가장 많은 설 연휴가 2주 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16일 한국철도공사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한국철도공사는 국토교통부의 지시에 따라 사고차량과 동일차종인 ‘KTX-산천(원강)’ 13편성 전량의 차륜을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KTX 탈선사고의 후속조치로 사고원인이 완전히 규명되기도 전에 같은 차종 전량의 차륜을 교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KTX 탈선사고가 2004년 KTX의 운행 시작 이후 처음으로 열차자체의 이상에 따른 탈선사고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2011년 2월, 2018년 12월 발생한 KTX 탈선사고는 모두 신호기 오작동이 원인이었다.
이번 KTX 탈선사고도 사고 직후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사고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고발생 다음날 사고지점 3km 전에 위치한 오탄터널에서 사고차량의 차륜이 발견되면서 차량자체의 결함이 사고원인일 가능성이 커졌다.
나 사장이 한국철도공사 수장으로서 질 부담이 이전 KTX 철도사고 때와 비교해 더 클 수밖에 없는 셈이다.
또한 나 사장이 철도기술 연구자 출신이라는 점까지 고려하면 철도차량 결함에 따른 KTX탈선 사고는 나 사장에게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나 사장은 사고 이틀 전인 3일 신년사를 통해 “올해는 철도안전의 터닝 포인트”라며 “국민이 안심하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철도안전을 글로벌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27일부터 단계적 시행을 앞두고 있다는 점도 나 사장의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뒤부터는 철도 운행 과정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하면 이전과 달리 한국철도공사 기관장인 나 사장까지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물론 아직 정확한 사고원인이 나온 것은 아니다.
사고원인을 놓고 최종 결론이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12월 KTX 탈선사고도 최종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1년여의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나 사장이 사고원인 조사가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원인이야 어찌 됐든 KTX 탈선사고로 철도안전을 향한 대중의 불신이 커진 상황에서 철도수요가 가장 많은 설 연휴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지시한 차륜교체의 대상이 되는 차종은 전체 고속차량의 12%에 이르는 만큼 원활한 KTX 운행을 위해서는 차륜교체를 미루기도 어렵다.
게다가 올해 설 기차표 예매 결과 예매율은 지난해 40.4%보다 11.4%포인트 늘어난 51.8%로 집계됐다.
나 사장은 24일까지 차륜교체작업을 모두 마친다는 계획을 세웠다.
차륜교체작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전국 3곳에 위치한 KTX 차량정비기지마다 특별전담팀(TF)을 별도로 구성해 운영한다는 대책도 마련했다.
나 사장은 14일 경기도 고양시 KTX 차량기지를 방문해 “사고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안전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긴급조치”라며 “다가오는 명절에 국민이 안심하고 안전하게 열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가용자원과 정비역량을 집중해 차량운행 안정화에 힘써달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