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철 기자 dckim@businesspost.co.kr2025-11-17 15:39:55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 국회 비준'을 두고 우리나라의 전략적 운신의 폭을 좁히는 것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MOU(양해각서) 25조를 보면 행정적 합의로서 조문 자체에 구속력이 없는 걸로 돼있다”며 “만약 저희가 국회 비준 동의를 받으면 저희만 구속된다”고 말했다.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관세협상은 향후에도 논의를 통해 조정될 부분이 많은 만큼 국회 비준을 받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상황에 따라서 신축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항이 많이 들어가 있고 (연간) 200억 달러 (대미투자) 한도도 외환시장에 영향이 있으면 낮출 수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데 비준하게 되면 그 이후에도 완전히 적용되는 측면의 문제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한미 관세협상 이행을 위한 법안이 통과된 이후의 상황에 관해 “자동차 관세가 (소급적용돼) 11월1일부터 낮아질 수 있는데 비준하는 데 시간이 걸릴수록 손해가 될 수 있다”며 “미국은 나중에 어떤 의무를 지지 않는데 한국은 계속 의무를 져야한다”고 짚었다.
국가의 재정적 부담이 큰 협정이나 조약은 국회 비준 동의를 받지 않은 사례가 없다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지적을 두고 대미 현금(지분)투자 2천억 달러를 그냥 주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세금을 쓴다는 엄중함을 알라는 (야당 위원님들) 말씀은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이중삼중 많은 장치를 마련했고 저희가 2천억 달러를 공짜로 주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투자 대상 분야가 조선을 제외하고도 에너지, 반도체, 의약품 등 한국이 경쟁력을 가지는 분야”라며 “우리 기업이 참여하게 되면 우리 근로자들이 인건비를 받고 우리 기업의 수익이 나면 그 달러가 들어오는 식으로 얼마든지 선순환 구조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