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10년 단위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을 세운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오후 세종 반곡 국토연구원에서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연다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는 22일 보고회를 열고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도심에 산업·주거·문화 복합공간을 만들고 정부부처의 기업 지원사업을 집중시키는 프로젝트이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부산과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5개 광역시 도심에 도심융합특구를 지정하고 기본계획을 승인했다.
3월 시작된 이번 연구는 2026년 9월까지 1억6천억 원 규모로 진행된다.
종합발전계획에는 도심융합특구의 기본목표·중장기발전전략과 함께 특구의 조성·육성에 관한 사항, 운영현황, 성과 등이 담긴다.
이밖에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한 범부처 지원방안 △선도기업 유치전략 △산업 네트워크 연결 방안 △세제감면 등 기업·종사자 지원방안 △정부 재정지원 필요성·세부기준 △정부·지자체·민간 거버넌스 체계 정립 등도 포함된다.
김지연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은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으로 10년 동안의 중장기 발전전략을 제시하겠다”며 “앞으로 도심융합특구가 지방의 성장거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수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