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수 기자 jang7445@businesspost.co.kr2025-03-31 16:10:58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크래프톤의 올해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전망이며, PC, 모바일 모두 성수기에 트래픽,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성장할 것이다.
대신증권은 31일 크래프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 48만 원으로 게임주 톱픽(Top-pick)을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12MF 주당순이익(EPS) 2만3394원에 Target 주가수익비율(PER) 20.6배를 적용했다. Target PER은 글로벌 게임 경쟁사의 12MF PER 평균을 적용했다.
▲ 크래프톤의 inZOI의 출시 전 사전 지표 및 출시 직후 지표 모두 긍정적이다. 흥행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크래프톤>
크래프톤의 28일 주가는 35만9천 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크래프톤의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2% 늘어난 8114억 원, 영업이익은 30% 증가한 4030억 원으로 예상한다. 매출 및 영업이익 모두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전망이다.
PC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39% 늘어난 3378억 원으로 예상한다. 펍지 2988억 원, 인조이(inZOI) 약 310억 원으로 추정한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1분기 스팀 평균 트래픽은 약 74만 명으로 매 분기 우상향 지표를 보이고 있으나, 춘절 컨텐츠 업데이트의 ARPU는 지난해 1분기 대비 낮아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inZOI의 경우, 1분기 4일 동안 반영되는 판매량 약 60만 장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1분기 모바일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2% 늘어난 4508억 원으로 예상된다. 중국, 글로벌 지역 모두 견조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중국은 1월부터 론도맵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ARPU, 트래픽 모두 전년 동기대비, 전분기 대비 반등할 전망이다.
특히 비수기인 전분기에 운영 전략상 의도적인 BM(비즈니스모델) 조절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1분기 매출 반등 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비용은 전분기 대비 2% 늘어난 4084억 원으로 추정한다. 신작 출시에 따라 마케팅비는 전분기 대비 3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작 inZOI는 3월28일에 얼리엑세스(앞서 해보기)로 출시됐다.
출시 전 스팀 내 사전 지표(위시리스트 순위 1등, 팔로워 수 약 25만 명) 상승과 함께 출시 이후에도 스팀 글로벌 실시간 매출 순위 1위를 빠르게 기록하면서, inZOI 흥행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관심과 판매량 기대치가 높아졌다.
이지은 연구원은 “inZOI 2025년 판매량을 170만 장, 평균판매가격(ASP) 5만2천 원으로 실적 추정치에 반영됐다”고 지적했다.
다만, 신규 IP이자 얼리액세스 버전인 점을 고려하면, 판매량 150만 장 이상만 달성하더라도 성공적인 흥행 수준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국내 주요 PC/콘솔 게임들의 출시 초기 성과를 살펴보면, TCP(2022년 12월) 6개월 누적 약 200만 장, P의 거짓(2023년 9월) 1년 누적 약 200만 장, 스텔라블레이드(2024년 4월) 8개월 누적 약 160만 장 수준으로 파악된다.
또한 붉은사막(2025년 4분기)의 예상 판매량은 약 300만 장으로 추정된다. 이 4종의 게임 모두 AAA게임, 신규 IP, (얼리액세스가 아닌) 정식 출시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앞 3종의 게임은 출시된 이후 각 회사의 주요 IP(지적재산권)로 자리잡았다.
이들과 달리 얼리액세스 버전으로 선출시된 inZOI의 경우, 얼리액세스 버전 정도의 흥행성과만 확인되더라도 향후 유저 피드백을 반영한 정식 버전으로 출시되었을 때 장기 IP화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원은 “inZOI의 흥행은 단기 실적 기여보다는 크래프톤의 게임 라인업 확대 가능이 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inZOI 흥행 성과가 2분기 중 어느정도 확인이 된다면, 하반기 신작들에 대한 기대감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브노티카2’의 위시리시트 순위는 현재 6위, 팔로워 수 약 15만명 유지 중으로 매우 긍정적이다.
크래프톤의 2025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대비 13.8% 증가한 3조839억 원, 영업이익은 10.8% 늘어난 1조3103억 원으로 추정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