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반도체 장비 구매액이 올해 눈에 띄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정부의 규제와 중국 기업들의 자급체제 구축 노력이 배경으로 지목된다. 중국 SMIC 반도체 생산공장 사진.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이 미국 정부의 규제에 선제대응해 반도체 장비 수입을 크게 늘려 왔지만 올해부터는 구매 물량이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정부의 제재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한편 중국 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받아 반도체 장비 자급체제 구축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로이터는 12일(현지시각) 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 분석을 인용해 중국의 올해 반도체 장비 구매액이 지난해와 비교해 약 6% 줄어들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이 지난해 구입한 반도체 장비 액수는 410억 달러(59조6천 억 원)에 이르며 3년 연속 증가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구매 점유율은 40% 안팎을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 중국의 구매 점유율은 20% 수준으로 지난해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전 세계 장비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중국의 수요는 눈에 띄게 줄어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테크인사이츠는 주요 반도체 장비 수출국이 미국의 기술 규제 영향으로 중국에 수출을 줄이면서 이러한 결과를 낳을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든 정부 임기에 중국의 고사양 반도체 장비 수입을 차단하기 위한 제재조치가 다수 이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이 반도체 장비 자급체제 구축에 성과를 내 해외 수입에 의존을 낮추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배경으로 꼽힌다.
중국 기업들은 미국의 규제가 본격화되기 전부터 이를 예상하고 반도체 장비를 대거 사들여 쌓아두는 ‘사재기’에 나섰다.
하지만 중국 정부 차원에서 해외 기술에 의존하지 않겠다는 목표를 두고 자국 장비 업체를 적극 지원해 온 성과도 수입 물량 감소에 기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의 반도체 생산 투자는 대부분 구형 반도체에 집중되어 있어 기술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다.
로이터는 “SMIC를 비롯한 중국 기업들은 구형 반도체 분야에서 사업 확장에 힘을 싣고 있다”며 “공급 과잉 리스크를 높일 만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다만 테크인사이츠는 중국이 당분간 노광장비를 비롯한 일부 기술 분야에서 자급체제 구축에 계속 고전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반도체 테스트 장비와 조립 장비 분야에서 중국의 자급률도 2023년 기준 각각 17%와 1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트럼프 정부에서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가 계속될 가능성이 유력한 만큼 중국이 해외 장비를 수입하는 일은 앞으로 더 어려워질 공산이 크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