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전자 TSMC서 영입한 반도체 패키징 전문가, 중국 기업으로 이직 가능성

김호현 기자 hsmyk@businesspost.co.kr 2024-08-27 13:59:5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영입했던 TSMC 출신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전문가가 중국 경쟁사로 이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27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TSMC 출신 빅 린을 삼성전자 첨단 패키징 사업부 부사장으로 영입했지만, 사업부 해체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린 부사장을 적극 영입하려 하고 있다.
 
삼성전자 TSMC서 영입한 반도체 패키징 전문가, 중국 기업으로 이직 가능성
▲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영입한 TSMC 출신 첨단 패키징 전문가 빅 린 부사장이 사업부 해체로 중국 반도체 기업으로 이직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연합뉴스>

린 부사장은 TSMC에 합류하기 전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에서 일했다. 이후 1999년부터 2017년까지 TSMC에서 19년 동안 근무하며 첨단 패키징 사업을 담당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린 부사장은 TSMC의 450개 이상의 반도체 관련 미국 특허를 책임졌다.

또 TSMC가 애플과 주요 계약을 확보하는데 역할을 했으며, 3D 패키징 기술 고도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현재 TSMC의 첨단 패키징 사업은 엔비디아, AMD 등 대형 고객사를 확보해 회사의 주요 성장 기반이 됐다.

린 부사장은 TSMC를 떠나 스카이테크 최고경영자(CEO)로 일하며 첨단 패키징 제조 장비 분야에서도 전문 지식을 쌓았다.

삼성전자는 2022년 첨단 패키징 태스크포스를 설립했고, 2023년 첨단 패키징 사업팀으로 전환했다. 빅 린 부사장은 당시 첨단 패키징 사업팀 부사장으로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테스크포스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 첨단 패키징 사업부는 최근 해체됐고, 팀원들은 삼성전자 메모리 부서와 다른 부서로 이동했다.

또 린 부사장의 2년 계약이 곧 만료되며, 삼성전자는 계약을 연장할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 측이 내부 조직 개편으로 첨단 반도체 패키징부를 해체한 것은 확인했지만, 인사와 관련한 질문엔 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호현 기자

최신기사

이재명 다음 주 4대그룹 회장 간담회, 한미 관세협상 타결 후속 대책 논의
김동녕 18년 만에 한세실업 대표이사로 경영 복귀, 3인 각자대표 체제로 전환
LG전자 조주완 "스마트팩토리 누적 수주 1조 눈앞, 반도체·제약으로 확장"
KT&G 3분기 매출 1.8조 영업이익 4653억 역대 최대, 연간 실적 목표치 상향
하나증권 "한미약품 고지혈증 제네릭에서 압도적 매출 성장, 비만 약 내년 4분기부터 매..
현대면세점 첫 연간 흑자 가시권, 박장서 신라·신세계 빠진 인천공항점 입점 결단하나
IBK투자 "현대그린푸드 범현대 외 수주 경쟁력 확대, 생산효율도 개선"
아모레퍼시픽그룹 3분기 영업이익 1043억 내 39% 증가, 글로벌 매출 호조
IBK투자 "네이버 AI·젼환 가속화, 광고 커머스 콘텐츠에 통합 플랫폼 전략"
루닛 자회사 볼파라와 브랜드 통합, 서범석 "AI 혁신기업으로 한 단계 도약"
Cjournal

댓글 (1)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회호리
중국놈 쓰지마라 기술빼간다   (2024-08-29 17:4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