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올해 안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힘을 잃고 있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이 22일 미국의 금리동결 결정 직후 “새로운 충격이 없다면 올해 안에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히면서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이 확산되고 있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려 경기부양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전망은 증권업계 일각에서 꾸준하게 제기돼 왔다. 9월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줄어들고 한진해운발 물류대란과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리콜사태 등 악재도 잇따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이 올해 안에 0.25~0.5% 수준인 기준금리를 0.5~0.75%로 올리고 한국은행이 1.25%인 기준금리를 1.0%로 내린다고 가정하면 격차가 최대 0.5%포인트밖에 되지 않아 외국계 투자자금의 대규모 유출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
한국 금융시장은 상대적인 위험자산으로 분류돼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좁혀질수록 국내에 들어왔던 외국계 투자자금이 비교적 안전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미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9월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직후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국도 기준금리의 하한선이 상승할 수 있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가계부채 급증세도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리기 힘들게 만드는 요소로 꼽힌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리면 연동되는 시장대출금리도 낮아져 가계부채가 더욱 늘어나게 된다.
은행권 가계대출잔액은 8월 기준으로 682조4천억 원에 이르렀는데 7월보다 8조7천억 원이나 증가했다. 이 증가폭은 올해 들어 최대 규모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국이 연말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정부가 경기부양을 이유로 방치했던 가계부채가 한국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22일 미국에서 금리동결을 결정한 직후 통화금융반대책회의를 열어 글로벌 금융시장의 상황을 점검했다. 이 회의는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주재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일본은행의 금융정책회의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국내 금융시장에 단기적인 영향이 있었다”며 “글로벌 금융시장이 각국의 중앙은행 정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는 점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