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중국 미국의 AI 반도체 규제에 ‘궁여지책’, 게임용 GPU도 분해해서 쓴다

이근호 기자 leegh@businesspost.co.kr 2023-11-24 14:24:5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중국 미국의 AI 반도체 규제에 ‘궁여지책’, 게임용 GPU도 분해해서 쓴다
▲ 중국 업체들이 엔비디아의 게임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가져다가 분해해서 인공지능 반도체를 만드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4090. 제품 상단부에 쿨러가 보인다. <엔비디아>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반도체 업체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수급에 어려움을 겪자 게임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분해해 부품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각) 전자전문매체 WCCF테크는 엔비디아의 게임용 GPU인 ‘지포스 RTX 4090’을 분해한 뒤 부품을 재조립하는 공장이 중국 전역에 수백 곳이나 생겨났다고 보도했다. 

한 익명의 관계자가 중국 최대 포털인 바이두를 통해 밝힌 내용에 근거한 보도였다. 

보도에는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GPU를 하나씩 분해한 뒤 인공지능 반도체용 부품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묘사됐다. 

개인용 컴퓨터가 아니라 거대 규모의 데이터 서버에서나 사용할 법한 쿨러(송풍장치)가 장착된다고도 전해졌다. 
 
지포스 RTX 4090에 들어있던 쿨러는 중고시장에 대거 풀렸다는 정황도 나왔다. 기존 쿨러만 따로 저렴한 가격에 거래되는 현황도 전해졌다.  

WCCF테크는 “새로 장착한 쿨러는 인공지능 연산에 필요한 서버 환경에 맞춤형인 부품”이라며 “공장은 수천 개의 엔비디아 게임용 GPU가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탈바꿈하는 현장”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반도체 업체들이 게임용 GPU까지 분해해서 인공지능 서버용 반도체로 만드는 이유로는 미국의 대중국 제재가 꼽혔다. 

미국이 첨단 인공지능 반도체를 중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으로 하여금 정부의 허가를 받게끔 통제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로 50억 달러(약 6조5187억 원) 상당의 반도체를 중국에 판매하지 못할 상황에 놓였다는 분석도 나왔다. 

WCCF테크는 중국의 인공지능 업체들은 지포스 RTX 4090을 구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

인기기사

양극재 하반기 청신호에도 '불안', 에코프로 엘앤에프 포스코퓨처엠 내실 집중 류근영 기자
HD현대중공업 수주 목표 상반기에 넘친다, 밀려드는 발주에 즐거운 비명 김호현 기자
출구 없는 '의료파업'에 입원 환자 급감, HK이노엔 JW중외제약 직격탄 왜 장은파 기자
중국 반도체 물량공세로 '덤핑' 본격화, 파운드리와 메모리 업황 변수로 김용원 기자
산업부 "2023년 1000대 기업 연구개발 투자 72.5조, 삼성전자가 33% 차지" 장은파 기자
롯데손해보험 매각 본입찰 이번주 예정, 우리금융 실사 뒤 막바지 작업 정희경 기자
공정위원장 한기정 "알리 테무 및 유튜브뮤직 끼워팔기 조사 7월 마무리" 장은파 기자
쿠팡이츠에 역전 당한 요기요, 네이버와 콜라보로 2위 탈환 '글쎄' 김예원 기자
경제부총리 최상목, 전기차 캐즘 우려에 "구매혜택 포함 여러 지원 검토" 정희경 기자
구광모 LG그룹 미국 현지 사업 점검, "도전과 도약 '빅스텝' 만들자" 장은파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