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KB국민카드 신한카드 '선구매 후결제' 도입 준비, 성장정체 해법될까

공준호 기자 junokong@businesspost.co.kr 2022-05-02 16:09:2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KB국민카드, 신한카드 등 전통카드사들이 수익원을 확대하고 미래고객을 잡기 위해 BNPL(Buy Now Pay Later, 선구매 후결제) 서비스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해외에서는 BNPL 서비스가 활성화된 결제서비스로 비금융정보 등을 활용한 대안신용평가를 통해 금융정보부족자(씬파일러)를 고객으로 포용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KB국민카드 신한카드 '선구매 후결제' 도입 준비, 성장정체 해법될까
▲ KB국민카드와 신한카드 로고.

2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주요 카드회사들은 일부 핀테크 기업이 제공하고 있는 BNPL 서비스를 뒤따라 도입하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KB국민카드는 다날과 BNPL 결제 서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 제휴 계약을 맺고 3분기 안으로 해당 서비스를 내놓는다는 구상을 세워놓고 있다.

이를 위해 통합 결제 관련 디지털 인프라를 보유한 다날과 비금융정보 기반의 대안신용평가 시스템을 공동으로 구축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신한카드 역시 지난달 전문개인신용평가업 인허가 획득 기관 크레파스솔루션과 손잡고 대안신용평가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향후 BNPL을 포함한 대안정보 기반 신사업을 발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주요 카드회사들이 BNPL 시장 개척에 나서면서 다른 경쟁 카드회사들도 시장에 뛰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가맹점 수수료 인하에 따라 본업 경쟁력이 갈수록 저하되고 있고 성장성이 벽에 부딪힌 상황이기 때문에 신사업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 등 5개 주요 카드사들의 1분기 순이익 합계는 총 5957억 원으로 1년전과 비교해 0.6% 증가하는데 그친 실정이다.

BNPL은 금융활동 이력이 적은 MZ세대들도 손쉽게 가입하고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BNPL은 결제 업체가 가맹점에 먼저 대금을 지불하고 소비자는 구매대금을 분할납부하는 방식으로 신용카드 할부와 유사한 결제방식이다

신용카드는 개인의 신용점수나 소득 등 종합금융정보를 중심으로 결제한도를 부여하지만 BNPL은 비금융정보 등을 활용한 대안신용평가 중심으로 결제한도를 설정하기 때문에 금융정보가 부족한 씬파일러도 이용할 수 있다.

이미 빅테크 기업들은 BNPL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미래세대 잡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가장 앞서 후불결제 서비스를 내놓은 곳은 네이버파이낸셜로 월 30만 원 한도의 '네이버페이 후불결제'를 1년 넘게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월 15만 원 한도로 후불이용이 가능한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를 올해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토스 역시 최근 월 결제한도 30만 원의 후불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유통기업인 쿠팡 역시 '나중결제'라는 이름으로 BNPL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공준호 기자

최신기사

키움증권 "카카오게임즈 목표주가 하향, 본사 중심 성과 높일 필요"
유니드 구조적 수익성 확장 국면 진입, 탄소포집 관련 성장성도 커져
비트코인 시세 6월 중 역대 최고가 전망, 글로벌 자금 유동성 확대로 '청신호'
미국에서 "지구 온난화는 심각한 위협" 응답 사상 최대치, 정치 성향별 차이 커
[미디어토마토] 다음 정부 대통령실 선호도, '청와대' 47.3%로 가장 높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제동, 금감원으로부터 정정요구 다시 받아
[미디어토마토] 대선 결과 '정권교체' 57.2% vs '정권재창출' 36.8%
"테슬라 주가 65% 상승 여력" 증권사 전망, 로보택시로 판도 바꿀 가능성
애플 온실가스 감축률 60% 돌파, 203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 가까워져
제네시스, 전기 오프로드 SUV '엑스그란이퀘이터 콘셉트' 최초 공개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