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 시장은 행정협의회에서 “지역 이기주의를 버리고 경제와 교통, 문화, 교육, 복지 등 모든 분야를 공유하는 하나의 경제·생활권을 만들어야 한다”며 “정부가 지역균형 뉴딜에 강한 의지를 보인 만큼 충청권 메가시티로 분권형 국가 균형발전을 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메가시티는 충청의 인구와 기업투자가 계속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마련한 범충청권의 협력방안이다. 인구 550만 이상의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을 구축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대전과 세종시, 충청남북도가 합의했다.
충청권 메가시티 제안은 허태정 시장이 7월23일 대전청사에서 대전형 뉴딜정책을 발표하며 처음 제안했다.
첫 제안은 생활권 안에 경제는 물론 행정까지 통합하는 방안이었지만 세종시에서 행정통합에 난색을 보여 행정을 제외한 경제권만 통합하는 방법을 논의해 왔다.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추진 합의문에는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추진을 위한 4개 시·도 상호협력 강화 및 연구용역 공동수행 △충청권 광역철도망 등 충청권 광역사업 추진 협력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추진을 위한 협의체 구성 및 충청권 행정협의회 기능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2019년 조사한 ‘대전·세종·충남지역 인구 유출입 현황 및 특징’에서는 충남지역의 인구 불균형 상황이 심화해 충남지역 내외 인구이동에 관한 종합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전시는 세종시와 상생협력을 강화하면서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높여 청년층 일자리를 창출하고 구도심지역 개발에도 속도를 높여야 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허 시장은 세종시에 정부부처가 모이고 새로운 주거환경이 조성되면서 대전의 인구가 세종시로 대거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대전은 쇠퇴한 구도심으로 급속하게 위축되고 있다고 우려한다.
이에 따라 허 시장은 충청권 메가시티와 대전 디지털뉴딜 계획을 통해 좋은 일자리와 인공지능(AI) 주민서비스 제공 등을 담은 '스마트시티'로 대전을 새롭게 만들어 인구 유출을 막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충청권 광역철도망을 추진해 세종시 등 충청도 안의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도 대전으로 일하러 오기 편한 환경을 조성하고 인공지능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육성하는 대덕융합연구센터, 한국형 실리콘밸리 스타트업파크를 마련하는 등 기업유치에도 나섰다.
허 시장은 이런 상황에서 정부에서 추진하는 중기부의 세종시 이전이 대전시의 인구가 세종시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을 가속화해 대전의 활력 되찾기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까 걱정하고 있다.
허 시장은 11월30일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대전지역 시민단체와 함께 중소벤처기업부 세종시 이전 추진에 반대하며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 앞에서 천막시위를 시작했다.
허 시장은 “정부가 중기부 대전 잔류라는 명확한 입장을 내놓을 때까지 농성을 계속하겠다”며 “정부가 대전시민과 중기부 이전에 관한 어떤 공론화 과정도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데 대전시민이 분노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세종으로 행정수도를 완전히 이전한다는 커다란 목표와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국회와 청와대의 이전 방침과 함께 종합계획을 결정한다면 그 큰 틀에서 대전시도 넓게 상황을 지켜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관해 김수현 세종특별자치시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센터장은 1일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허태정 시장의 청와대와 국회의 세종시 이전 발언은 행정복합도시가 다시 행정수도로 복원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차원이 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아마도 만약 행정수도가 개헌이나 특별법 제정으로 완성된다면 세종시는 물론이고 대전과 청주, 공주, 천안 등이 모두 행정수도 광역도시계획으로 상생발전을 이룰 수 있어 중기부 세종시 이전은 별 문제가 안 된다는 의미를 담은 게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