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17일 국내 최초로 준공한 상업용 해상풍력단지인 탐라해상풍력발전. |
정부의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떠받칠 해상풍력발전에 시선이 모인다.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의 기회가 많아지고 사업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서 2030년까지 현재 1.2GW 수준인 풍력발전을 17.7GW까지 16.5GW 늘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육상풍력의 경우 입지가 제한적이다. 연중 풍력발전이 가능한 지역에는 대부분 이미 풍력발전 시설이 설치돼 있다. 소음 의 문제도 있어 신규 입지를 선정하는데도 어려움이 많다.
이 때문에 바다 위에 풍력발전기를 세우는 해상풍력이 사실상 정부의 풍력발전 목표를 달성하는 데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사실상 해상풍력을 염두에 두고 풍력발전 목표를 정한 것으로 여겨진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태양광은 국민 참여를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도시형 자가용 발전시설을 늘리고 소규모 사업지원과 협동조합 참여를 활성화한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태양광과 달리 풍력은 1기를 설치하는데도 수십억 원이 필요하다. 더욱이 해상풍력은 육상풍력보다 설치 비용이 두 배 이상 많아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이 불가피하다. 기업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이유다.
이미 많은 기업들은 해상풍력발전에 관심을 보이고 적극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두산중공업으로 현재까지 유일하게 해상풍력사업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2011년 국내 최초로 3㎿급 육·해상 풍력시스템을 개발했고 올해 5월 현대일렉트릭으로부터 5.5㎿급 해상풍력발전 기술을 인수했다.
11월 준공한 국내 최초 상업용 해상풍력발전단지인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에도 두산중공업의 해상풍력발전기 10기가 설치됐다. 두산중공업은 18일 삼성중공업으로부터 제주도 대정해상풍력발전 지분 25%를 인수하는 등 해상풍력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건설도 전남 신안지역에 400㎿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건설하는 우이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2013년부터 풍향데이터 측정을 해왔고 올해 7월 남동발전과 공동개발 투자협약을 맺었다. 현재 산업통상부 전기위원회에 전기사업 허가신청을 제출해 놓았다.
7일에는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해상풍력발전 컨퍼런스를 열고 해상풍력발전사업을 놓고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전남 신안지역은 수심이 낮고 바람이 좋아 해상풍력단지를 건설하기 적합한 환경이다. 이 때문에 한화건설 외에도 해상풍력 사업에 나서는 기업이 많다.
이미 포스코에너지는 300㎿, SKE&S는 98㎿ 규모의 사업허가를 받았다. 포스코에너지의 해상풍력 사업은 산업부가 허가를 내준 해상풍력단지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이 밖에 SK건설, SKD&D, GSE&R 등이 울산과 제주 등에서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해상풍력 발전사업 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한 점은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진행하는 기업들에게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부는 2018년 하반기 공유수면법 시행령을 개정해 공유수면 점용·사용료를 조정하기로 했다.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중심으로 배후 항만 및 생산·조립단지를 구축해 혁신성장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계획입지제도와 연계해 중대형 해상풍력, 부유식 해상풍력 등 국내 기술력을 실증하고 보급하는 역할도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한 해상풍력 연구개발 4단계로드맵을 마련했다. 2019년까지 3㎿급 해상풍력, 2022년까지 5㎿급 해상풍력 사업을 거쳐 2024년까지 6~8㎿급 초대형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2027년까지 부유식 해상풍력으로 넘어가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정부가 해상풍력에 적용되는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가 상향 조정할 것이라는 기대도 많다. REC는 일종의 보조금 개념으로 REC 가중치가 올라가면 같은 양의 전기를 생산해도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어 사업성이 개선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